아르타반
헨리 반 다이크 지음, 차영지 옮김 / 내로라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ime is too slow for those who wait, too swift for those who fear, too long for those who grieve, too short for those who rejoice,

but for those who love, time is eternity.


시간은 기다리는 자에게는 더디고, 두려워하는 자에게는 쏜살같으며, 슬퍼하는 자에게는 끝나지 않을 것 같고, 기뻐하는 자에게는 찰나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영원하다.

아르타반 중


책을 열고 처음 맞이한 글을 읽었을 때는 아! 좋은 글이다 하고 지나갔다. 마지막 책장을 덮고 다시 읽은 첫 장은 여러 생각을 하게 하였다. 이미 읽은 두 권의 내로라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책이어서 아르타반 역시 그러한 이야기인지 알고 읽었다.


예수의 탄생을 예언한 별의 움직임을 과연 세 사람의 동방박사만 보았을까? 세 동방박사 이외에 다른 사람도 있었다. 언뜻 보면 성경의 가르침에 대한 이야기인듯하다. 하지만 아르타반은 성경 이전에 인간의 본질, 삶의 본질을 이야기하고 있다. 누구에게나 존경받고 풍요로운 삶을 살던 아르타반이었다.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내려놓고 앞으로 찾아올 왕에게 바칠 세 가지 보석만을 가지고 길을 떠난다.


왜 세 가지 보석이었을까? 그리고 많은 보석 중 사파이어와, 루비, 진주였을까? 하고 읽는 내내 궁금하였다. 진리를 추구하는 자신의 진정한 왕을 찾기 위해 사막을, 베들레헴을, 이집트를, 수없이 많은 곳을 헤맨다. 헤매는 동안 왕에게 바칠 보석들을 차례로 다른 이를 위해 쓰이는 과정들에 아르타반은 미련을 두지 않는다. 보석이 가지는 상징성만을 골똘히 생각하며 읽었지만 책의 마지막 장을 덮고 나서 보니 중요한 것은 보석이 아니었다.


아르타반은 배고픈 이를 만나면 빵과 물을, 아픈 이를 만나면 회복제를 주고 치료를 해주고, 헐벗은 이를 만나면 옷을 주었다. 자신이 가진 것을 하나하나 내주었다. 그가 걸어온 여정에는 그들에 대한 사랑이 있었다. 비록 함께 왕을 찾아가기로 한 세 친구들을 만나지 못했지만 그보다 더 많은 사람을 만났다. 그리고 예루살렘에 도착한다.


어떤 삶을 살아야 마지막을 맞이했을 때 후회 없이 살았다 말할 수 있을까? 예수나 아르타반처럼 많은 이들에게 베풀고 헌신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일까? 질문을 끊임없이 되풀이해 보았다. 책을 읽는 중에도 하였지만 마지막 장을 덮고도 계속하였다. 서평을 쓰려 책상에 앉았지만 다시 일어나기를 몇 번 반복하였다.


<본질>, 아르타반이 찾아 헤매던, 그의 영혼이 바라던 본질이 무엇인지 아직도 잘 모르겠다. 그저 자신에게 주어진 상황에 최선을 다한 삶을 살아왔다는 사실은 알게 되었다. 그는 마지막까지 만나고자 하던 자신의 왕을 만나지 못한다. 그럼에도 지난 삶을 돌이켜 단 한치의 후회도 남지 않아다 말한다.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그가 지나온 길을 같이 걸어야 알 수 있을 듯하다. 다시 한번 책을 들어본다.


내로라 출판사에서 이번에 선보인 책들은 영한 합본이다. 영어울렁증이 있는 사람으로서 책장을 넘기기 망설여졌다. 하지만 넘긴 책장의 영어들 중 가끔 모르는 단어들이 있었지만 무난히 읽을 수 있었다. 신기하고 이상한 경험이었다. 뜻을 알든 모르든 일단 영문을 읽은 후 해석된 글을 읽으니 더 읽기가 쉬웠다. 그럼에도 본질에 대한 답은 찾지 못했지만 답을 찾을 때까지는 몇 번이던 계속 읽어보면 된다. 진리를 찾고자 하는 아르타반의 마음이 조금 이해가 될 것도 같다.


살아감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본질>을 탐구하고 싶은 이들에게 권하고 싶다. 만약 헨리 반 다이크가 전하고자 하는 의미를 알게 된다면 알려주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이 책은 실화가 아니다 온전히 헨리 반 다이크에 의해 만들어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