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비딕 (무삭제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44
허먼 멜빌 지음, 레이먼드 비숍 그림,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오랫동안 재독 리스트 1위는 「펄 벅의 대지」였다. 고등학교 시절 이후 몇 년에 한 번씩 재독을 하였다. 「모비 딕」을 읽고 난 지금 재독 1위는 바뀌었다. 「모비 딕」을 받고 차례를 보고 든 생각은 한 1-2일 많으면 3-4일이면 다 읽지 않을까였다. 읽을 서평 책들도 좀 있었고 하여 서평 마감 며칠 전에 읽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먼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분명 매일 책을 읽었다. 자기 전 마지막과 일어나 처음 읽는 독서대에는 「모비 딕」이 있었다. 그러나 남은 책장이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44장 해도에서의 에이해브의 모습에 결국 모비 딕이 잡혀서 이슈메일이 풀어놓은 고래의 해체 과정을 겪는다 생각하니 마지막 장에 도달하기가 싫었는지 아니면 에이해브의 '흰 고래'에 집착과 광기, 집념을 더 보고 싶었을까? 무엇이 모비 딕을 오랫동안 떠나보내기 싫어하게 했을까?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로 모비 딕이 화제의 중심이 되었을 때 서평단에 <현대지성의 모비 딕이> 올라왔다. 향유고래와 그를 잡으려는 선장의 이야기라는 것 이외의 알지 못하고 읽게 된 책은 왜 아라비안의 로렌스가 장엄함 정신을 보여주는 거대한 책만 두는 서가에 「모비 딕」을 꽂아두었는지 알게 되었다. 모비딕 안에는 성경, 철학, 신화, 심리 등이 인용되기도 저자 나름의 해석으로 담겨 있기도 하였다.


작품 해체를 제외하고도 691쪽의 방대한 책에 담긴 이야기를 어디서 시작해서 어떻게 풀어야 할지 조금 막막한 느낌이다. 작품 중간중간에 삽입되어 있는 흑백의 목판화가 만약 컬러였다면 모비 딕은 어떻게 읽혔을까 떠올려 보았지만 상상이 되지 않았다. 가장 인상 깊었던 삽화는 흔들린 램프 아래에서 해도를 보는 에이해브의 모습이었다. 「이처럼 해도에 몰두하는 동안, 그의 머리 위 쇠사슬에 매달린 육중 안 백랍 등불이 배의 요동에 맞추어 끊임없이 흔들리며 주름진 선장의 이마에 흐릿한 빛과 그림자를 번갈아 가며 던졌다」를 읽으며 본 에이해브의 모습은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그 장면이 선원들에서 항해의 진짜 목적을 밝힌 직 후라 더 깊이 각인된듯하다.


흰고래를 보았소?

보았소. 바로 어제. 혹시 표류하는 보트를 보았소?

 - 중략 -

그 고래는 어디 있었소? 안 죽였지. 안 죽였어!

그놈의 상태는 어떠했소?

모비딕 P636


피쿼드호가 레이철호를 만남을 때 에이해브는 아들이 탄 보트를 찾을 수 있게 도와달라는 선장의 청을 거절한다. 자신의 다리 한쪽을 사라지게 하였다고 보이기에는 '흰 고래'에 대한 집착이 비이상적이다. 무엇이 에이해브를 사로잡은 것일까? 너무 높은 자존심? 잡지 못한 고래에 대한 미련? 사라진 다리로 인해 평생을 해온 고래잡이를 더 이상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공포? 그에 대한 분노? 에이해브는 왜 자신의 목숨뿐만 아니라 모든 선원들의 목숨을 걸 만큼 '모비 딕'에게 집착하는 것일까? 지난 온 항해 일정을 보면 분명 '흰 고래'를 잡는 것에 큰 위험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 텐데 선원들이 에이해브를 따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허먼 멜빌은 이 예측할 수 없고 파란만장한 고래잡이 여정안에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무엇일까? 어떤 질문에는 어렴풋이 답을 알 것 같고 몇몇 질문은 답을 전혀 알 수 없다. 그러하기에 '모비 딕'은 여전히 읽는 중 책들 꽂혀있는 책꽂이 한편을 오랜 시간 차지 하고 있을 것이다.


우연히 여관에서 마주한 야만인 퀴케그와 이슈메일의 진정한 우정을 나눈다. 그리고 피쿼드호에는 백인, 흑인, 야만인 등 다양한 인종과 각기 다른 종교에 대한 믿음을 보여준다. 인디언 타슈테고가 고래기름통으로 가라앉을 때 다구가 그를 구해준다. 이렇듯 서로가 협력하지 않으면 목숨이 위태로운 배 안의 생활 모습은 당시의 인종에 대한 차별과 종교등 편협한 시각에 전하는 메시지이다.


에필로그의 '구명부표'를 보자 다시 앞으로 돌아갔다. 특별한 표시를 하지 않고 무심히 지나쳤던 한 문장이 떠올랐기 때문이었다. 몇 페이지를 되돌아가니 찾던 문장이 나왔다. 그 부분을 읽고 뒤에 벌어질 일에 대해 눈치챈 독자가 있었을까? 너무 궁금하다.


『모비 딕』은 언제가 꼭 한 번은 읽어보길 권하고 싶다. 단 후루룩 급하게 보다는 느긋하게 천천히 1장부터 135장, 에필로그와 작품 해체를 지나 작가 연보에까지 글자 하나하나 단어 하나하나를 음미하듯 읽어보길 추천한다. 가끔은 읽다 멈추고 글의 의미를 되새겨 보기도 하고 복잡한 고래의 해제 작업이나 머리, 뇌경유, 꼬리, 향유 기름에 대한 설명을 꼼꼼히 읽어보며 에이해브와 그의 선원들의 항해를 함께 하다 보면 깊은 바닷속에 숨겨져 있는 나만의 '흰 고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