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더, 스탠드 ㅣ 꿈꾸는돌 32
추정경 지음 / 돌베개 / 2022년 7월
평점 :
VR이라는 독특한 소재가 등장한다. 가상현실은 이미 우리의 일상 안으로 깊이 들어와 있다. 이처럼 과학의 발전은 초 단위보다 빠르게 변하며 많은 것들을 바꾸어 놓았다. 그 속도를 따라가기에는 너무 벅찬 이들도 있다. 「발전에는 필히 느린 구간이 필요했다.」는 말처럼 빠른 발전이 답은 아니다. 발전에 따른 다양한 문제들을 끊임없이 생각하고 묻고 답하며 합당한 답이 찾을 수 있게 한 걸음씩 단계를 밟아야 한다. 작가는 VR 가상현실 안에서 어떤 이해의 의미를 찾으려는 것일까?
목훈은 생각했다. 그때로 돌아가면 지금 자신의 나이 정도인 아버지를 조우하게 되겠구나. 같은 연령대의 아버지를 만나 그 모습을 지켜본다면 아버지를 이해할 수 있으려나.
「내 나이가 돼보면 안다.」는 말은 부모님들이 흔히 하는 말이다. 같은 나이, 같이 시간대를 겪어보면 이해할 수 있을까? 엄마가 흔한 그 말은 자주 하셨던 나이가 되니 전부는 아니라도 조금은 이해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너 같은 딸을 낳아봐야 내 마음을 알지」 한탄하시던 엄마의 마음은 딸이 없으며 주위 다른 집들이 다 겪은 아이들의 폭풍같은 사춘기를 두 아들은 거의 없이 지나갔기에 온전히 이해할 수는 없다. 이러하니 아빠는 더욱더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그럼에도 왜 저러한 말을 하였는지 어렴풋하게나마 이해가 된다는 것은 같은 시간대를 지나지 않았지만 같은 시간만큼을 살아와서이지 않을까. 시간은 경험을 선물한다. 시간 속 모습들은 각각일지라도 그 안에서 살아가며 겪은 경험들에서 깨달아가는 것들은 비슷하리라.
인간은 결코 진정한 이해에 도달할 수 없기에 그것을 향하다 결국 8부 능선쯤에서 멈춰 진실을 깨닫는다. 인간이 인간을 온전히 이해하는 일에 완주란 없으며, 페이스메이커의 운명이 그러하듯 다만 그 과정을 함께할 수 있을 뿐임을.
서로의 생각을 읽는 초능력이 생겨 다른 이들의 생각을 볼 수 있다면 온전한 이해가 가능할까?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아니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상대방의 생각을 읽는다 하여 그를 모두 이해할 수는 없을 것이다. 같은 사과를 보고도 어떤 이는 사과가 빨갛네라고 생각하고, 다른 이는 사과가 맛있겠다고 생각할 것이다. 서로의 상대의 생각을 본다면 먹는 사과를 보고 왜 저런 생각을 하지라거나 예쁜 빨간색 사과를 보고 왜 먹는 것부터 생각하지라고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사람들의 가치관,습곤, 생활양식, 생각의 기본 바탕은 그들이 걸어온 시간 안의 경험들에 의해 크게 작용한다. 그러나 한 공간에서 함께 시간을 공유한다면 이해의 폭을 좁힐 수는 있을 것이다. 서로 마주 보고 이해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나란히 서서 같은 것을 바라보며 걸어간다면 8부 능선에 멈춰진 이해의 산을 조금은 더 오를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의 아버지가 내게 말해 주셨어요. 행복이란 건 정말 이상한 놈이라고. 그 행복이란 놈의 앞뒤에는 필연코 그에 필적하는 어둠이 필요하다고. 행복과 불행이 뒤범벅되어 그 본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는 때야말로 가장 인간적인 순간이라더군요. - 중략 - 우리는 죽음이 우리를 완전히 해체할 때쯤에야 깨닫고는 합니다. 그게 반타 블랙 같은 죽음일지라도, 우리는 저항해야 하죠. 손톱으로 긁어서라도 실낱같은 빛줄기를 찾아내는 게 인생이니까요.
빛이 강하면 어둠이 짙다. 그 차이가 클수록 느껴지는 감정의 폭도 커진다. 빛을 이미 본 사람은 아무리 깊은 어둠에 잠겨도 길을 찾을 수 있다. 큰 행복을 누려본 이는 끝없는 불행의 낙락으로 떨어진다 해도 이미 맛본 달콤함을 알기에 그것을 찾기 위해 잃어버린 길을 헤쳐날 수 있다. 인생 안에 희로애락은 필연적으로 있다. 다만 그들을 대하는 각자의 자세와 마음가짐에 따라 다른 길을 갈 뿐이다. 아무리 극한의 상황에도 실낱같은 희망을 가지고 포기하지 않는 이들만이 바닥을 차고 올라 행복으로 이끄는 길 위를 걸어간다. 목훈의 아버지는 자신이 감당하기에는 너무 큰 불행을 겪었다. 그가 겪은 큰 불행과 필적하는 행복은 어디에서 느꼈을까? 자신의 불행이라 생각했던 아버지의 말을 들은 목훈은 그를 이해할 수 있을까? 그들이 함께 한 시간 안에 답이 있을 것이다.
처음에 등장했던 반타 블랙의 정체는 계속 궁금하였다. 책의 끝이 되어서야 밝혀진 그와 목훈의 관계는 마음을 따스하게 하는 한편 먹먹하게도 하였다. 가족이라는 이름 아래 가해지는 폭력들에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것은 어린아이들이다. 그들의 트라우마는 그들의 삶에 끊임없이 끼어들어 많은 선택의 기로에서 눈앞을 흐리게 하여 불행으로 이끌기도 한다. 그 트라우마의 터널에서 빠져나오게 하는 이들도 가족이다. 그리고 사회도 시스템적인 부분에서 함께 하여야 한다. 「이해는 결과가 아니라 과정일세. 함께 했으니 됐네.P192」라는 함 회장의 말이 책장을 덮고도 계속 따라다닌다.
영어로는 Under Stand는 이해하다이다. 언더, 스탠드라는 제목을 보며 추정경 작가는 왜 Under와 Stand 사이에 쉼표로 구분했는가 궁금하였다. 책을 읽는 내내 그 숨겨진 의미를 생각하며 읽어 나갔다. 이 책에서는 이중의 의미를 가진다. 이해하다와 다른 하나의 의미는 책의 말미에 나왔다. 그 의미는 책을 읽는 이들마다 다를 수 있다. 다른이들이 찾은 언더, 스탠드(Under, Stand)의 또 다른의미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