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역 소크라테스의 말 - 스스로에게 질문하여 깨닫는 지혜의 방법
이채윤 엮음 / 읽고싶은책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역 소크라테스의 말

이세윤 엮음 ㅣ 읽고싶은책 펴냄


단 한 권의 책도 내지 않은 소크라테스의 말이 지금까지 전해지는 것은 플라톤이라는 제자를 둔 덕분이다. 플라톤의 국가론을 비롯해 그의 저서들에는 소크라테스의 많은 말들이 기록되어 있다. 이에 가끔은 플라톤의 말인지 소크라테스의 말인지 불분명하기도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진짜 소크라테스가 했을 법한 말들인지 알 수 있다고 한다. 너무 방대한 분야에 걸쳐져 있는 목차를 보고 놀랐다. 찬찬히 목차를 읽어나가 보면 목차만으로도 많은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책을 읽으며 처음부터 읽기도 하고 목차를 보고 흥미를 끄는 부분을 찾아 읽기도 하니 어느새 모두 읽게 되었다. 책을 마치고 받은 전체적인 느낌은 평소에도 말고 있었던 이야기인데 너무 당연하게 생각해서 깊이 생각해 보지 않았던 말들이 많았다. 누구나 당연하다고 생각하지만 가볍게 생각하여 무심코 지나쳤던 생각들이 다시 나를 돌아보게 했다.


많은 말 중 기억에 남은 말 중 하나는 「똑똑한 사람들은 모든 사물과 모든 사람들로부터 배우고, 평범한 사람들은 자신의 경험에서 배우고, 어리석은 사람들은 이미 모든 답을 가지고 있다.」였다. 처음 글을 읽었을 때는 모든 답을 가지고 있는데 왜 어리석다고 하지 라는 생각이 들었다. 몇 번을 다시 읽어보고 나서야 자신만의 생각에 갇혀 틀린 답을 가지고 있어도 자기만이 옳다 주장하는 사람을 뜻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가끔 신랑에게 내가 맞는다고 고집을 부릴 때가 있는데 찾아보면 틀린 경우가 종종 있었다. 다른 사람의 생각을 받아들이고 자신이 틀릴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배워나가는 사람이 똑똑한 사람일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는 것이 아니라 잘 사는 것입니다. 그리고 잘 산다는 것은인생에서 더 즐거운 일들과 함께

당신의 원칙에따라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초역 소크라테스의 말 P371


책이 거의 끝날 때쯤 마주친 문장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그냥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즐겁게 그러나 원칙에 따라 살아 가는 것이 잘 사는 것이다라는 의미 일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과도하게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도 종종 있다. 사회는 혼자 오롯이 살아가는 곳이 아닌 함께 살아가는 곳이기 원칙이 무너지면 혼돈만이 있다. 문장 중 눈길을 끈 것은 『인생에서 더 즐거운 일들과 함께』였다. 공연이나 전시들을 보는 것을 좋아하지만 혼자서는 움직이기 힘들다는 핑계를 대며 타협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게 놓친 즐거움의 기회들이 떠올랐다. 인스타그램에서 가고 싶은 몇몇 전시회를 눈 여고 보고 컬렉션에 저장만 해 놓았다. 문득 혼자서 가면 안 되나? 왜 꼭 누군가와 같이 움직여야 하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예약을 망설였던 전시를 예매해야겠다.


책을 읽으며 인덱스를 많이 붙이지 않는다. 진짜 마음을 흔드는 문장을 만나면 붙인다. 그럼에도 이 책을 모두 읽고 덮을 때는 평소보다 많은 인덱스가 붙어 있었다. 재독을 할 때는 인덱스를 떼어내고 다시 읽는다. 이전에 책을 읽었을 때 보다 시간이 흘러 경험이 쌓이고 생각의 결이 달라지기에 다시 읽을 때는 또 다른 느낌을 받기 때문에 마음에 다가오는 문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책은 재독을 하면 할수록 인덱스가 늘어날 것 같다. 책상 가까이에 둘 책이 또 한 권 늘어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