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기 통제의 승부사 사마의 - 자신을 이기는 자가 최후의 승자가 된다 ㅣ 삼국지 리더십 4
자오위핑 지음, 박찬철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9월
평점 :
`자기통제의 승부사, 사마의`를 읽고
회사 생활이 참으로 어렵다. 존경하고 의지할 만한 관리자는 정말 찾기 어렵고, 모두 저마다의 단점으로 아랫사람을 힘들게 한다. 조직의 불합리한 운영과 억울한 질타에 불같이 화가 나다가도, `저도 나도 인간이니 어쩔 수 없지` 싶어 마음을 억지로 누그러뜨린다. 일 하나를 처리하기 위한 보고절차는 길기도 길고, 무언가 정체되고 후퇴하는 느낌에 가슴이 답답하다. 화를 내고 부딛혀볼까 싶다가도 `나만 모난 돌`이 될 것같아 꾹 참는다. 아마 우리 나라의 30대 직장인들이 대부분 겪고 있는 문제일 것이다.
사마의는 정말 재미없는 인물이다. 하지만 말단 직원으로 시작해 관리자가 된 성공신화에 가장 적합한 인물이기도 하다. 관리자의 집중 견제와 감시를 받으면서도 살아남았고, 주변 사람의 질시와 도전을 받았지만 그들을 굴복시켰다. 그래서인지 이 책도 사마의 본인의 삶을 내밀하게 보여준 책이 아닌 `직장생활의 교본`처럼 생각된다. 그의 성공요인은 첫째 `허허실실`을 통해 자신의 힘을 그대로 내보이지 않은 것이고, 둘째 상사와의 관계를 좋게 하여 항상 꼭 필요한 자리에 있었다는 점일 것이다.
하지만 이 두 가지 모두 쉬운 일이 아니다. 힘이 있으면 보이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이다. 그래서 내가 한 실수는 최대한 줄여서 말하거나 다른 사람 핑계를 대기 마련이지만, 조직의 작은 성취도 다 내가 했노라 허풍을 떨게 된다. 사마의는 그렇지 않고, 철저하게 자신을 통제했다. 그리고, 사람들의 의심과 감시에 대비해 수 차례에 아픈 척을 해서 자신의 능력을 숨기기도 했다. 여러모로 참 대단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p. 161
사마의를 돋보일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성공할수록 목소리를 낮추고 빛을 발할수록 꼬리를 감추는 사람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일을 할 때에는 기세등등하게 기치를 높이 올리며 매사에 엄격했고 사람과 관계를 맺을 때에는 겸허하고 온화하게 몸을 낮추었습니다.
또 하나는 조조 일가를 4대에 걸쳐 섬겼음에도 항상 군주의 인정을 받으며, 주목을 받았다는 점이다. 상사와의 관계를 잘 맺기는 참 어려운데, 그것을 훌륭하게 해낸 것을 보면 사마의의 사회성도 보통이 아니었다는 생각이 든다. 아니면, 이미 그의 권력이 군주가 무시할 수 없을만큼 커져 있었기 때문에 함부로하지 못했던 것일까? 일주일에도 몇 번씩 팀, 과장과 얼굴 붉힐 일이 생기는 나로서는 부럽기만 한 재능이다.
p. 91
보스에게 의견을 낼 때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이 두 가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보스의 단점을 너무 호되게 까발리는 것이고, 두 번째는 보스의 마음을 너무 정확하게 알아보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 잘못을 저지르게 되면 보스가 불쾌한 것은 물론이고 주변 사람들도 편안해하지 않습니다. `위아래가 없고 기세등등하게 사람을 얕보며 우쭐거린다.`는 느낌을 줄 뿐입니다. 보스에게 의견을 개진할 때 보스가 받아들이지 않으면, 가능한 보스가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을 채택해야지 단도직입적으로 밀어붙여서는 안 됩니다.
하나 같이 힘든 일이다. 어떻게 하면, 나의 일터를 좀 더 나은 조직으로 만들면서, 즐겁게 능력껏 일할 수 있을까. 능력있는 관리자가 뜻을 펼칠 수 있도록 장을 만들어주는 것도 중요하겠고, 개인적 차원에서 해야할 일들도 있을 것이다. 바로 회의와 안주에서 벗어나는 것, 그리고 `작은 일이라고 해서 작게 보지 말고, 작은 일이라고 해서 마음대로 하지 않는` 자세, 적극적인 자기 수양과 계발이다. 여전히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