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 - 다치바나 식 독서론, 독서술, 서재론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언숙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 라는 책의 이름은 많이 들어보았지만 다치바나 다카시라는 저자가 그렇게 유명한 사람이라는 것은 몰랐다. 책에 대한 책이라는 것이 흥미로웠고 글 자체가 강연이나 인터뷰 등을 모아논 것이었기 때문에 읽는 데 크게 지장은 없었다. 다만, 저자가 읽은 책을 나도 한 번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에 저자가 읽은 책들을 유심히 보았지만 대부분 일본 작가의 책들이나 우리나라에서는 구하기 힘든 것 들이어서 한국 독자인 나에게 그 책이 어떤지에 대한 개념이 잡히지 않았다.

작가는 책은 소설과 같은 문학 작품의 책과 지식을 전달하는 전문서로 양분하여 전자의 것은 별로 읽을 필요가 없고 실제 저자도 오랫동안 그런 책을 잘 읽지 않았다고 말한다. 물론, 책이란 지식을 얻기 위한 도구로서의 기능을 강하게 가지고 있지만 꼭 그렇게 양분하여 읽을 필요가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저자는 일을 하기 위해서 관련된 저서들을 읽으려면 문학 작품들을 읽을 시간이 없고 또, 문학작품에서 큰 재미도 느끼지 못한다고 한다.

하지만 책은 기능적인 목적만 가진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질 낮은 저질 도서가 아니라면 어떤 책을 읽든 거기에서 무엇을 얻느냐는 것은 개개인의 문제일 것이다. 오히려 전문서에서 느끼지 못한 지식들을 다른 책에서 얻을 수도 있는 것일 것이고. 저자의 이런 기능 주의적인 생각을 빼고는 저자의 생각들이 마음에 들었다. 집안이 망해도 책은 사보겠다는 마음과 수중에 돈을 들고 무작정 보고 싶은 책들을 모두 사서 보는 열정, 이 것이 지금의 다치바나 다카시를 만든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이 나에게 어떤 큰 반향을 주지는 못했지만 끊없는 지적 호기심을 가지고 책을 통해서 점점 많은 것을 얻어나가는 저자의 삶은 나도 그렇게 살아가리라는 욕심이 나게 만들었다. 저자가 몇 살 때 쓴 글인지 모르겠지만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서 읽고 싶은 책들만이라도 읽고 싶다는 말을 하였다. 나는 고작 생물적 나이로 10대 후반이고, 사회적인 나이로는 겨우 20대 초반이다. 나는 아직 젊다. 그래서 읽고 싶은 책도 많고 책에 대한 욕심도 많다. 책은 위대하고 놀라운 것이다. 그리고 지금의 다치바나 다카시를 만든 것은 책이었다.

끝으로 <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라는 책 또한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의 서평에 의해 휘둘리는 것은 옳지 못하다. 어떤 책에 대해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저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한 사람의 서평에 휘둘려서 그 책을 읽지 않는다면 결국 아무 책도 보지 못한다. 다치바나 다카시의 서평론처럼 나는 어떤 책을 보는 게 어떻겠냐고 말해줄 뿐이다. 책에서 무엇을 느끼고 무엇을 얻는가는 개개인이 할 일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라디오 2019-06-25 16: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실제로 다치바나 다카시씨는 문학작품도 일반인들에 비해선 월등히 많이 읽었습니다. 본래 문학 쪽 작가가 되려고도 했었고요. 문학을 안 읽게 된 것은 저널리즘에 빠지면서부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