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 따위 안 읽어도 좋지만 - 세계적 북 디렉터의 책과 서가 이야기
하바 요시타카 지음, 홍성민 옮김 / 더난출판사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책을 좋아하지만 서가를 꾸미는 '북 디렉터'가 있다는 사실은 미처 알지 못 했다. 책을 읽는 것과 서가를 꾸미는 것이 직업이라니. 책을 좋아하는 이들에겐 참으로 멋진 직업이 아닐 수 없다.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책과 늘 함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책을 읽는데 방해할 사람도 머라 할 사람도 없다. 왜냐. 그것이 내 일이니까. 첫 장을 넘기기 전에 저자를 소개하는 짧은 글에서 만감이 교차해버린다. 그 느낌은 '부럽다, 멋지다'라는 수식어로 표현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감상에 지나지 않겠지만 말이다.
'북 디렉터'라는 멋진 직업을 갖고 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저자가 자신이 좋아하는 책에 대해 쓴 책이다. 나 스스로 책을 대하는 태도부터가 달라진다. 살짝 긴장도 된다. 과연 어떤 내용들이 실려 있을까. 어떤 책들을 어떻게 재미있게 소개해주고 있을까. 이런 기대감이 살짝 들며 첫 장을 넘긴다.
요즘엔 정말 책을 읽는 사람을 찾아보기 힘들다. 정확히 말하자면 책이 있는 곳이 아니면 좀처럼 보기 어렵다. 즉,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인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말이다. 꼭, 반드시 이동하는 교통수단에서 책을 봐야 하는 것은 아니다. 맞다. 그럴 필요 없다. 내가 책을 읽고 싶은 장소면 어디든 좋다. 다만 그곳이 책이 있는 곳이 아니더라도.
'사람들이 책을 읽지 않는다'라고 많은 사람들이 말을 하지만 책을 읽지 않는 이들이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노력하지는 않는다. 이 글을 쓰고 있는 나조차도 말이다. 늘 그렇게 '책 읽는 사람이 없다', '책을 읽어야 한다', '책 읽는 우리나라가 되어야 한다'라고 말만 할 뿐이다. 그래서 속으론 책을 좋아하고 서가를 꾸미는 일을 업을 삼고 있는 저자라 할지라도 똑같을 것으로 생각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진. 아니, 저자 소개를 읽기 전까진.
"사람들이 서점에 오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책을 가지고 사람이 있는 곳을 찾아가는 일을 한다. 요즘처럼 인터넷으로, 검색만 하면 무엇이든 찾을 수 있는 세상에서 몰랐던 책과 우연히 만나는 기회를 일상 속 여기저기에 흩뿌리고 싶어서다."
지금까지 이렇게 생각해본 적이 없다. 책을 좋아하는 다른 사람을 만나도 저자처럼 말하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 책이 주는 앎과 기쁨 그리고 감동을 많은 사람들과 나누고 싶은 마음. 이것이야말로 진짜 책을 좋아하는 사람의 마음이 아닐까 싶다. 책을 좋아한다고 말하는 나 자신이 조금은 부끄럽고 민망하다. 그저 '많은 사람들이 책을 좋아하고 읽었으면 좋겠다'라고 생각만 했을 뿐 실천에 옮기지는 못 했던 것이다. 저자는 말한다. "책을 읽고 무언가를 '아는 것'이 '사는 것'과 이어져야 한다"라고 말이다. "읽은 책의 문장 하나, 단어 하나라도 마음에 깊이 꽂혀서 피와 살이 되고 하루하루 실제 생활에 작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이다. 이것이 바로 책을 읽는 자의 자세가 아닐까 싶다. 레이첼 카슨은 조카의 아들과 숲을 거닐었던 순간을 기록한 <센스 오브 원더>에서 이렇게 말했다. "아는 것은 느끼는 것의 절반만큼도 중요하지 않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앎을 넘어 느끼고 깨달아 삶에 적용되어하는 것이다. 우리가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다.
북 디렉터로서 저자가 해온 일들은 다양하다. 과연 이곳에 책이 필요할까 싶은 곳에도 정성을 다해 팀원과 함께 서가를 꾸몄다. 그 일을 하며 느낀 감상을 고스란히 기록해 놓았다. 북 디렉터라... 입으로 말할 때는 쉬웠지만 막상 저자가 해온 일들을 보면서 입이 무거워진다. 아무나 쉽게 할 수 있는 일은 아닌 듯하다. 그만큼 책을 가까이하고 많은 노력이 필요한 직업이다. 어쩌면 그래서 더욱 저자가 하는 일이 빛나는 것은 아닐까.
책은 언뜻 별것 아닌 듯하지만 거기에 바쳐진 열정을 받아 내는 그릇으로서 뛰어난 포용력을 갖는다. 저자 이외의 누군가가 책을 펼치는 것으로 열정은 전해진다. (...) 서점이나 도서관에서 가볍게 꺼내 들어 몇 장 넘겨보기만 해도 책의 미열은 전해진다. (...) 조금이라도 관심이 가는 책은 꺼내 들어 책장을 펼쳐보자는 것이다. 책을 통한 작은 열전도가 계속되는 한 사람의 호기심도 쓸 만한 거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서가를 꾸미며 책이 필요한 곳에 책을 들고 찾아간다. 그렇게 책이 갖고 있는 미열을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금 당장 우리가 저자처럼 의미 있는 일을 할 순 없다. 그렇다고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 방법이란 지금처럼 책을 좋아하고 열심히 읽는 것이다. 나아가 주변에 자신이 읽은 책을 추천해주면 된다. '바빠서 잠도 제대로 못 자는데 책 읽을 시간이 어디 있어?'라고 말하는 이들에게 말해주고 싶다. '좋은 책을 읽으면 잠이 달다'라고. 그렇다. 책 따위 안 읽어도 좋지만.... 읽어보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