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가 미안하다고 전해달랬어요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한 해를 뜨겁게 달구었던 소설을 기억하는가. '오베라는' 이름을 가진 성질 괴팍한 '남자' 말이다. 그는 동네에서 불평불만이 많기로 유명하다. 하지만 까칠한 이 남자 알고 보면 마음이 따뜻한 남자다. 한 마디로 말하자면 남자다운 남자라고 해야 될까. 아무튼 때아닌 '오베' 열풍을 일으키며 급기야 스웨덴 소설에 급 관심을 갖게 했다. 스웨덴 소설이라 하면 스티그 라르손의 <밀레니엄> 시리즈밖에 몰랐으니 내게는 마냥 신기하기만 했다. 이런 엄청난 인기에도 불구하고 불행히도 아직 '오베'란 이름을 가진 남자를 직접 만나보진 못 했다. 그래서였을까. '오베'라는 인물을 탄생시킨 작가의 차기작인 이 소설에 애착 아닌 애착을 갖게 된 것은 필연이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저 멀리 스웨덴에서 건너온 조금 있으면 8살 생일을 맞이하는 빨간 머리의 귀여운 소녀를 만나게 되었다.

<오베라는 남자>로 일약 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의 반열에 오른 스웨덴 작가 프레드릭 배크만이 돌아왔다. 이번엔 머리 희끗한 노인 대신 영특한 꼬마 아가씨를 대동하고서 말이다. 소설의 제목부터가 호기심을 자극한다. 할머니가 '미안하다고' 전해달랬어요? 대체 무슨 뜻일까. 장난기 가득한 얼굴을 한 소녀의 모습은 호기심을 더욱 부추긴다.


너무 영특한 나머지 7살이라는 어린 나이에도 어른처럼 성숙한 소녀 엘사. 그녀의 특기는 맞춤법 교정이다.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틀린 말은 바로잡아준다. 이런 그녀의 성격 탓에 학교 친구들에겐 왕따를 당하기 일쑤다. 엄마는 병원 업무에 바빠 그녀를 잘 돌보지 못한다. 그런 그녀에게 위로와 힘이 되어주는 사람은 바로 그녀의 할머니다. 세상의 모든 7살짜리에겐 슈퍼 히어로가 있어야 한다고 말하며 자신이 손녀의 슈퍼 히어로임을 자처한다. 엘사와 할머니는 세상에서 믿고 의지할 수 있는 가족이자 가장 친한 친구다. 그런 할머니가 어느 날 편지 한 통을 남긴 채 엘사 곁을 떠나간다. 할머니가 남긴 편지에는 '미안하다'라는 말과 함께 그녀가 살고 있는 아파트 주민들에게 편지를 한 통씩 배달해달라는 미션이 담겨 있다. 슈퍼 히어로의 마지막 부탁이다. 그렇게 엘사의 좌충우돌 기적과도 같은 미션이 시작된다. 편지가 한 통씩 배달될 때마다 그동안 할머니에게 들었던 '깰락말락' 나라의 이야기 속 주인공들을 만나게 된다. 과연 엘사는 슈퍼 히어로 할머니의 미션을 끝까지 잘 수행할 수 있을까? 할머니의 편지를 마지막에 받게 될 주인공은 과연 누가 될까?


소설을 읽는 내내 주인공 꼬마 숙녀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귀여웠다. 소설 속에 표현된 말 그대로 '우라지게' 짜증 나는 구석이 없진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말 사랑스러운 아이임에는 틀림없다. 아이들 중에도 유독 눈에 띄는 아이들이 있다. 그 아이들의 특징은 대부분 또래 아이들에 비해 성숙하다는 점이다. 말도 논리 정연하게 할 뿐 아니라 매사가 진중하다. 때론 어른보다 더 어른스럽다고 해야 될까. 대화를 하다 보면 오히려 어른인 나를 당황케 하는 경우도 있다. 우리의 꼬마 숙녀 엘사가 바로 그런 아이다. 어른들이 이해하기 힘든 아이들의 세계가 있다. 보고, 듣고, 생각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엘사의 할머니는 그런 엘사를 이해하는 어른이다. 그런 할머니가 자신이 떠나고 남겨질 사랑하는 손녀를 위해 작은 선물을 마련했다. 바로 슈퍼 히어로의 마지막 미션인 '편지 배달'이다.


할머니가 맡긴 임무는 엘사를 위한 것이었지만 아파트에 살고 있는 모두를 위한 것이었다. 어리지만 영특한 손녀에게 편지 배달을 맡긴 이유가 여기 있다. 아파트에 살고 있는 주민들은 모두 과거에 한차례 큰 슬픔을 겪었다. 바로 그때 할머니와 인연을 맺은 이들이다. 세월이 약이라 하지만 모두에게 약이 되는 것은 아닌 듯하다. 여전히 자기 자신 안에 슬픔을 가두어둔 채 살아가고 있다. 할머니는 엘사가 그들과 친구가 되어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스스로 이겨낼 수 있는 용기를 갖게 되길 바랬다. 유능한 의사였던 할머니조차 오랫동안 해주지 못 했던 일이지만 사랑스러운 아이 엘사라면 반드시 해낼 것이라 믿었다. 그렇게 할머니의 믿음은 기적을 낳았다. 할머니가 전하고자 했던 '미안하다'라는 말에는 '사랑한다'라는 말이 숨겨져 있었다. 편지를 받은 이들은 그것을 눈치챘기 때문에 슬픔을 이겨내고 행복을 찾을 수 있게 된 게 아닐까.


편지가 배달될 때마다 하나의 기적이 일어나고 그 기적은 연쇄 반응을 일으켜 모두가 행복해진다. 전작인 <오베라는 남자>에서도 성질 더럽고 까칠한 남자지만 따뜻한 마음씨를 가진 한 남자를 통해 주위에 행복을 퍼트렸으리라. 재치 있고 위트 있는 소설을 통해 감동을 주고 그 안에서 사랑, 행복을 느끼게 해준다. 프레드릭 베크만의 소설이 갖는 가장 큰 장점이 바로 여기에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다음엔 어떤 재미있는 이야기로 우리 곁을 찾아올지 벌써부터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