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진기의 교실밖 인문학 - 소크라테스부터 한나 아렌트까지
최진기.서선연 지음 / 스마트북스 / 2016년 2월
평점 :
인문학 열풍이 이제 가정에까지 그 영향력을 미치는 듯하다. 인문학은 남녀노소 불문하고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학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인문학이라는 것 자체가 인간에 대한, 인간을 위한, 인간의 학문이기에 더욱 그러해 보인다. 인문학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자라나는 청소년은 물론이고 수험생에겐 필수 교과목으로 여겨진다. 직장인들에게는 사회생활을 함에 있어 융합적 사고를 위한 바탕이 되고 있다.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인문학의 영향이 안 미치는 곳이 없을 정도다. 이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인문학은 필수가 되어버렸다. 그런데 정작 인문학이란 무엇이고 그것을 배우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되는지 잘 알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 그만큼 인문학에 무관심 해온 탓이다. 어쩌면 이 책은 그런 이들에게 인문학 입문서로써 필요충분조건을 갖추고 있지 않을까 싶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이 있듯이 어렵게만 여겨지는 인문학도 그 기초가 되는 지식들을 쉽고 재미있게 익혀나간다면 결코 어렵지 않다. 이 책의 저자인 최진기 작가는 명실공히 대한민국 스타 강사라 불릴만하다. 수험생들을 위한 사회탐구 영역을 가르치는 강사 본연의 역할을 하면서 자신의 이름을 딴 '최진기 경제 연구소' 대표직도 겸하고 있다. 경제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한 번쯤은 들어보고 본 적이 있을 듯하다. 2008년 환율 동영상 강의가 그것이다. 어려운 환율이라는 개념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풀어서 설명해주는 동영상은 전 세계적으로 불어닥친 금융위기에서 빛을 발했다. 환율로 바라본 세계 경제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는 사람들이 많았던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런 그가 부모와 자녀가 함께 배울 수 있는 인문학 강의를 시작했다. 올해로 벌써 6년이 돼가는 『아빠와 딸이 함께하는 최진기의 인문학 특강』이 그것이다. 이 책은 그 강의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인문학 교양서라고 할 수 있다. 고대 철학자 소크라테스부터 20세기 독일의 철학자 한나 아렌트까지 그들의 이론과 사상을 설명한다. 자녀와 함께 읽는 인문 교양서에 부합하여 스토리 텔링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와 더불어 재미있는 일러스트와 사진은 글의 재미를 더한다. 또한, 잠깐 코너를 통해 이야기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접하고 심화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이와 함께 읽을 수 있는 인문 교양서라는 점에 끌렸는데 읽고 난 후엔 오히려 내게 도움이 많이 된 듯하다. 어렴풋하게 알고 있던 철학 사상이나 이론들에 대해 다시 한번 알게 된 계기가 되었다. 역사에 관심이 있는 나로선 세계사의 흐름까지 같이 알 수 있게 해준 책이다. 어려운 고전 철학 사상과 이론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접목하여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점이 특히 맘에 들었다. 학교에서 배우는 단편적인 지식이 아닌 열린 지식을 배울 수 있는 책이 아닐까 싶다. 한 권의 책에 많은 내용을 실지 못한 점이 못내 아쉽다. 앞으로 계속해서 『교실 밖 인문학』 시리즈로 출간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