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코의 보물상자
모리사와 아키오 지음, 이수미 옮김 / 샘터사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어릴 적 나만의 보물 찾기 놀이를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어른들의 눈에는 그저 잡동사니로 보일지언정 어린 내게는 소중한 보물들이었다. 작은방 나만의 비밀스러운 공간에 위치한 작은 상자엔 보물 찾기를 해 모은 것들이 한 가득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기분이 우울하거나 슬펐을 때 그 작은 상자 안의 보물들을 꺼내보며 위로를 받았던 것 같다.

사람들의 일상적인 이야기를 통해 감동을 주는 작가인 모리사와 아키오. 그를 처음 만난 건 <쓰가루 백 년 식당>이라는 소설을 통해서다. 그 후 <무지개 곶의 찻집>, <붉은 노을 맥주>, <스마일, 스미레> 등 여러 작품들을 읽었다. 그의 소설에는 은은하게 번지는 편안함이 느껴진다. 그런 그가 이번엔 좀 색다른 이야기를 들고 나왔다. 지금까지의 그의 작품들의 성격과는 조금 다른 듯하다. <미코의 보물 상자>는 어려서 부모에게 버림받고 조부모 밑에서 자라면서 성장하는 미코의 삶에 대한 이야기다. 부모가 없다는 이유로 주위로부터 소외를 당하는 그녀가 매일 자신만의 작은 보물 찾기를 하면서 행복과 희망을 발견한다.

소설의 내용은 앞서 얘기했듯이 미코의 삶에 대한 이야기다. 하지만, 이야기의 화자는 미코만이 아니다. 그녀를 포함하여 7명이 화자가 등장한다. 이야기의 주인공들이 기억하는 미코의 모습이 마치 기억을 회상하듯이 펼쳐진다. 각각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미코는 동일한 사람이지만 이야기마다 미코의 모습은 다르다. 화자가 기억하는 미코의 모습들이 제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다른 모습조차도 그녀의 모습이다. 부모에게 버림을 받고 조부모 밑에서 성장했기 때문일까. 단지 그 이유 때문은 아닐지라도 미코를 보고 있으면 어딘지 모르게 안쓰럽다. 주위 사람들에게 무시당하고 싫은 소리 잘 못하는 그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에겐 신비한 힘이 있다. 그녀를 만난 이들은 모두 그녀를 통해 마음의 위안을 얻는다. 어린 시절 자신을 길러준 할머니의 말처럼 말이다. '미코의 손은 고마운 손이야. 너의 두 손은 타인에게 감사 인사를 받기 위해 존재하는 거란다.' 누군가를 위해 특별히 무언가를 하지 않아도 곁에만 있어도 힘이 되는 사람이 있다. 그녀가 바로 그런 존재다.

이 소설은 작가가 취재를 통해 만난 여성으로부터 영감을 얻어 썼다고 한다. 소설 속에서 미코는 어린 딸을 홀로 키우면서 유흥업소와 간병 일을 병행하는 싱글맘이다. 힘든 생활을 하는 중에도 밝은 모습을 잃어버리지 않는 미코의 모습은 작가가 만난 여성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힘든 삶을 살아가는 이들에게도 행복과 희망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때론 그들로부터 위로를 받고 살아갈 용기를 얻을 수도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삶의 행복이란 결코 멀리 있지 않다. 단지 아주 작아 눈에 쉽게 띄지 않을 뿐이다. 어쩌면 우리는 미코처럼 매일매일 행복을 찾아 보물 찾기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보물을 찾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와 희망은 오늘을 살아갈 힘이 되어주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