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을 넘은 한국사 - 왜 한국사는 세계사인가?
안형환 지음 / 김영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사는 단군이래 지금까지 5,000년이라는 장엄한 역사의 기록이다. 긴 시간만큼 그 역사의 뿌리는 깊고 넓다. 한국사를 단순히 한반도의 역사 기록이라고 말할 수 없는 이유다. 몇 해 전 우리나라 고대사에 대한 고증을 바탕으로 한 역사추리소설을 보면 한민족의 역사는 한반도를 넘어 중국 대륙까지 뻗어나간다. 역사 전문가들에 의해 연구되면서 조금씩 그 실체가 드러나고 있는 점만 봐도 충분히 알 수 있다. 그렇기 어쩌면 한국사에 대한 연구는 세계사적 측면으로 방향 전환을 해서 연구가 이뤄져야 되지 않을까 싶다. 그런 측면에서 바라볼 때 <국경을 넘은 한국사>는 한국사를 좀 더 넓은 시각으로 바라본 첫 번째 책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이 책은 ​5,000년 한국사를 되돌아볼 때 가장 융성하고 번영했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가 어떻게 세계사적 측면으로 바라봐야 하는지를 이야기한다. 그 시기란 8세기 신라, 11세기 고려, 15세기 조선을 말한다. 8세기 무렵은 세계의 패권은 동아시아에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중에서도 중국 즉, 당나라는 세계 최고의 번성기를 누렸던 제국이었다. 그런 당나라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의 높은 정치적, 문화적 수준을 이룩한 통일 신라는 당 제국과의 활발한 교류로 개방된 국가였다.

11세기 고려 또한 신라 못지않은 개방 국가였다. 고급관료에 외국인을 등용했을 뿐 아니라 무역항 벽란도를 통해 서역인들과 교역을 활발히 함으로써 신문물을 수용하는데 거리낌이 없었다. 그 당시 고려는 동아시아 최고의 국제 국가였다. 황제의 나라였던 중국과의 교류에 대한 필요성을 고려했을 정도였으니 말이다. 또한, 고려의 승려들이 저술한 불교 경전들은 중국 천태종을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러한 고려의 역동성과 개방성은 고려 말 조선 건국에 많은 영향을 끼쳤음은 당연하다.

마지막 15세기 조선은 통일신라부터 고려를 거쳐 한반도 역사상 최고의 번성기를 누렸던 시대다. 그 당시 조선의 임금은 역대 최고의 왕으로 불리는 세종대왕이었다. 어쩌면 15세기 조선은 세종대왕의 개방적인 사고와 이념으로 인해 정치, 경제, 문화 등 모든 면에서 앞섰던 시대가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이 시기 조선은 고려와 마찬가지로 외국인들에 대해 포용력이 넓었다. 회회 사문, 유구국, 베트남 등에서 귀화한 외국인들이 많았으며 이들을 받아들이는데 망설임이 없었다. 조선 고유의 문자인 훈민정음 창제를 비롯해 자격루, 해시계, 신기전 등 과학과 천문학에도 뛰어난 업적을 이룩했던 시기다.

8세기 통일신라, 11세기 고려, 15세기 조선의 눈부신 번영의 역사를 보면 공통점이 한가지 있다. 바로 개방성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조선의 쇄국정치와 왜구의 침략에 의한 피지배 역사와는 사뭇 다르다. 그 당시 신라, 고려, 조선은 동아시아 어느 나라보다 개방적인 나라였다. 새로운 문화를 수용하고 이를 응용하는데 거리낌이 없었다. 어쩌면 이와 같은 개방적인 사고와 문화적 교류가 천자의 나라인 중국도 쉽게 넘보지 못한 자긍심과 힘을 갖출 수 있었던 계기가 되지 않았을까. 아쉽게도 조선 중기부터 조선말에 이르는 파란만장한 뼈아픈 조선의 역사를 되짚어보면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수 세기에 걸쳐 형성된 개방 사상이 쇄국으로 점철될 수밖에 없었는지 말이다. 조선이 개방에서 쇄국으로 돌아설 때 일본은 서구의 문물을 받아들이는 개방정책을 폈다. 그 결과는 우리가 모두가 아는 슬픈 역사다.

이 책을 통해 과거 한국사의 새로운 면을 엿볼 수 있었다. 그와 더불어 중요한 국가적 이념 하나를 깨달을 수 있었는데 그것은 다름 아닌 개방성이다. 물론, 단순한 개방적 사고가 모든 면에 이롭다고 할 순 없겠지만 적어도 틀에 박힌 제한적 사고로 인한 우물 안 개구리는 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과거를 기초 삼아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하기 위함이다. 작금의 시대에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어쩌면 이 책에서 시사하는 그런 열린 사고가 아닐까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