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309동1201호(김민섭)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너도나도 취업에 목메는 이때 인문학이라는 
소위 밥벌이도 시원찮은 학문에 뜻을 품은 대학원생이 있다. 하나의 직업도 갖기 힘든 요즘 같은 시대에 그는 무려 3개의 직업을 가진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다. 그는 인문학을 공부하는 학생이자 학부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이며 한 달 60시간 이상 일을 하는 아르바이트생이다. 도대체 그의 
정체가 무엇일까? 그렇다. 그가 바로 이 책의 주인공인 '지방시'다.
'지방시'란 말은 지방대학교 시간강사의 
줄임말이다. 현재 그는 여전히 대학에서 전공인 인문학을 공부하는 대학원생이다. 그런 그가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박사 논문을 준비하는 동안 
학부생들을 가르치는 시간 강사가 되었다. 이 책의 이야기는 그가 대학원생 신분으로 공부를 해온 과정과 시간강사로서의 삶을 써 내려간 그의 
일기장이다.
취업보다 공부에 뜻이 있는 학생이라면 
자연스럽게 대학원 진학을 고려한다.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 대해 좀 더 공부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막상 그런 원대한 포부와 결심은 대학원생이 
됨과 동시에 현실에 직면한다. 공부하는 학생 신분에서 대학원 연구실 잡일을 돕는 아이로 전락하고 만다. '빛 좋은 개살구'라는 표현만큼 그 
상황에 잘 어울리는 말도 없을 듯하다.
지금까지 전혀 알지 못 했던 사실이다. 
그래서일까. 그만큼 충격 또한 큰 것도 사실이다. 물론, 그런 환경 속에서도 공부에 매진하여 
석사가 되고 박사가 되어 교수가 되는 이들도 없지 않다. 하지만, 그만큼 열악한 환경에서 죽을 둥 살 둥 뒤치다꺼리하면서 공부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지는 모르겠다. 만약 주위에 대학원 진학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 신중히 고려해볼 것을 권하고 싶을 정도다.
그렇게 어려운 고비를 넘겼지만 학문의 길은 
끝난 것이 아니다. 이제부터가 다시 새롭게 시작된다.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졸업하기 위한 논문을 준비한다. 그러는 와중에도 그는 자신의 생활을 
위해 아르바이트를 한다. 감히 생각해본 적 있을까. 시간 강사라고는 하지만 대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가 패스트푸드점에서 일을 하고 있다니 
말이다.
누구보다 열심히 공부하고 누구보다 열심히 
아카데미의 삶을 살아왔고 앞으로도 살아갈 그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앞으로 그의 삶은 어떤 변화를 맞이하게 될까. 그가 이렇게 글로서 자신의 
대학원 생활과 시간 강사의 삶을 이야기한 것이 어쩌면 그의 인생의 터닝 포인트가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의 삶을 되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이야기를 읽으며 한편으론 울분을 금치 못하기도 했고 처절하기까지 한 삶에 눈시울이 붉어지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희망을 봤다. 그렇기에 이후에 이어지게 될 그의 이야기엔 좀 더 희망차고 밝은 모습의 그가 있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