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 한시 - 한시 학자 6인이 선정한 내 마음에 닿는 한시
장유승 외 지음 / 샘터사 / 2015년 9월
평점 :
평소에 한시를 접해볼 기회가 있을까.
한시는 차치하고
요즘엔 한자마저 거의 접해볼 기회가 없다. 아니, 아예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인터넷이 지금처럼 보편화가 되기 전에 그리고 신문이
지금과 달리 한자가 섞여 발행되던 시기만 해도 한자는 일상생활에서 한글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우리의 언어였다. 물론 지금도 그것엔 변함이
없지만 예전만큼은 아니다. 오히려 이제는 한자보다 영어를 비롯한 서양의 다양한 언어들이 우리 주변을 수놓고 있다. 그런 시점에서 한시를 읊는다?
어딘지 모르게 고리타분하지 않을까 하는 염려가 앞서는 것이 사실이다.
한시란 무엇인가. 한시는 한자로 지은
시다. 한자는 중국의 언어이기에 한시하면 중국시를 금방 떠올리기 마련일 텐데 사실은 꼭 그렇지마는 않다. 앞서 말한 것처럼 예부터 한자는 우리의
언어였다. 멀게는 삼국시대부터 가깝게는 구한말까지 한시는 우리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한 우리의 문학이었다. 지금처럼 한자를 찾아보기 힘든 시기에
따라서 어느 순간 그 흔적을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지만 말이다.
한시가 낯설게 느껴지는 이유는 멀까.
그것은 아무래도 한자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에서 비롯되는 것 같다. 예나 지금이나 한자는 사람들에게 어렵다거나 고리타분하다거나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 오래전부터 한자를 사용해오던 어르신들이나 한자를 연구하는 지식인들을 제외하고는 사실 누구나 한자를 그렇게 대한다. 그런데 이렇게 어려운
한자로 지어진 시가 때론 우리 삶을 진중 있게 들여다보며 깨달음을 주는 글이 되기도 한다. 한시는 네 구절 또는 여덟 구절로 이루어진 게
보통이다. 그렇게 짧은 구절 속에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을 느낄 수 있는 의미가 담겨 있다니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이 책에는 한시를 누구보다 깊이 연구하고
있는 여섯 명의 한시 학자가 고르고 골라 선정한 101편의 한시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한시 전체보다는 깊은 울림을 주는 두 구절 내지 네
구절만을 간추려 뽑았다. 그리고 각자 그에 대한 저자들의 생각을 담고 있다. 책의 제목처럼 하루를 시작하기에 앞서 조용히 앉아 그윽하게 한시를
읽고 그 의미를 되새기게 좋다. 그래서 일부러 책을 다 읽지 않았다. 한시에 담긴 그 의미를 깊게 새기고자 하루에 한편씩 읽어나가고 있다.
하루 한시를 통해 아침 5분 내외의 짧은 명상의 시간을 갖고 있다.
옛 한시를 들여다보면 대부분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시들이 많다고 한다. 허나 자연만을 노래했다면 한시가 옛 선조들의 삶에 그렇데 녹아들지는 않았을 터. 현대의 시와 소설 등
다양한 문학 작품들이 우리네 삶을 노래하듯이 한시도 그러했다. 책에 담긴 101편의 한시들이 모두 그러하다. 그래서 어렵지만 내 마음에 와
닿는다. 이번 기회가 아니었다면 아마도 평생 한시를 접해보지 못했을지도 모르겠다. 한시에 대한 새로운 눈을 뜨게 해준 고마운 책이다. 바쁜 일상
속에 하루 한시로 그날을 시작해보는 것은 어떨까. 결코 나쁘지 않은 선택이 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