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의 정신
샤를 드 몽테스키외 지음, 이재형 옮김 / 문예출판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법의 정신. 이 말 한마디로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과연 우리가 생각하는 법이란 무엇이며 어떤 존재인가. 나에게 있어 법이란 이렇다. 법이란 어렵고 복잡한 것이며 가깝고도 멀리 있는 존재이다. 사실이 그렇다. 법에 대해서 전문적으로 공부를 하지 않는 이상 법에 대해 잘 알 수 있는 방법이 과연 있을까. 없다. 없다고 생각한다. 법을 알기 위해서 그에 대한 공부가 필수불가결하다. 물론, 이는 법에 대해서만 통용되는 사안은 아니겠지만 다른 것보단 전문성을 요구함에는 틀림없다.

오늘날 우리가 어렴풋하게나마 알고 있는 법에 대해서 심도 있고 분석하고 정리한 인문철학자가 있다. 그의 이름은 샤를 루이 드 스콩다 몽테스키외다. 흔히 몽테스키외로 불리는 프랑스의 위대한 철학자 중 한 명이다. 오늘날의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이라 불리는 삼권분립을 가장 먼저 주창하며 미국 연방 헌법 제정과 더불어 근대 법치국가의 정치 이론에 큰 영향을 끼친 <법의 정신>의 집필한 ​그다. 몽테스키외는 법이란 '가장 넓은 의미에서의 법은 사물의 성격에서 유래하는 필연적 관계다'라고 정의한다. 즉, 법이란 모든 것과의 관계 속에 자리 잡고 있다는 뜻이 아닐까 싶다. 현대 사회 속에서 국가의 존속과 안녕, 질서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규범이며 국가를 구성하는 국민들 간의 관계를 위해서 정의된 교의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법의 정신>은 ​몽테스키외가 2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집필한 그의 필생의 역작이다. 1749년에 처음 이 책이 출간될 당시 그의 나이는 예순이 이르렀으며 그의 눈은 실명에 가까운 상태가 되었다고 한다. 철학자로서의 그의 인생의 모든 것이 이 책 한 권에 담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18세기에 출간되어 판매 금지가 될 정로도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명저 중의 명저인 이 책을 3세기 흐른 지금에 와서 읽어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뿌듯함을 감출 수가 없다. 이 번역본은 사실 몽테스키외가 펴낸 <법의 정신>의 내용이 모두 담겨 있지는 않다. 원문에서 가장 중요하다 싶은 부분만을 간추려 실었기 때문이다. 이 책의 번역자의 해설에 원문의 책에 실린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관심 있는 독자들은 누락된 부분을 확인하여 추후 일독하면 좋을 듯하다.

몽테스키외의 집필 의도와 번역자의 노고에 의해 지금 이 책을 읽기엔 그리 어렵지 않다. ​하지만, 이 책을 한 번의 정독으로 100% 이해하기란 나에겐 쉽지 않은 일이다. 또한, 몽테스키외가 책 서문에서 밝히듯이 그의 20년간의 노력을 그저 한번 쓱 읽고 난 후에 판단하기란 결코 녹록지 않을 것임은 자명 한 일이다. 그렇기에 한 번으로 읽고 끝낼 성격의 책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법이 뜻하는 것과 정신이 뜻하는 것의 큰 의미를 파악하고 난 지금 다시 한번 정독을 하고자 한다. 단, 이제부터는 내가 살고 있는 이 시대의 법의 정신을 생각하며 읽어보려고 한다. 법과 국민의 정신과 의식, 생활양식에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에 중점을 두고서 말이다. 그런 후에야 몽테스키외가 이 책을 집필한 의도에 조금은 다가서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