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아이의 사춘기가 두렵다 - 십대 아이와 이대로 멀어질까 두려운 부모에게
조덕형 지음 / 경향BP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모가 된지 어느덧 13개월이 된 지금, 여전히 내가 부모라는 게 사실 실감이 나진 않는다. 이른 아침 잠들어 있는 아이를 뒤로하고 출근하기 전 지긋이 바라보곤 한다. 아이의 자는 모습은 천사와 같다고 했던가. 입가에 행복한 미소가 아른거리는 걸 보면 나도 부모가 맞긴 한 것 같다.

중고등학교에 다니는 자녀를 둔 선배 부모들 입장에서 보면 햇병아리에 불과한 내가 어쩌다 부모가 되어 미리부터 걱정하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내 아이의 사춘기다. 나와 같은 부모 세대나 그 이전의 부모 세대 때와는 달리 요즘은 사춘기가 일찍 찾아온다고 한다. 그래서 항간에는 사춘기를 3.5춘기라고 부르기도 한다니 그 이전 세대들과는 차이가 크긴 한 듯하다. 그런데 요즘의 사춘기는 비단 그 시기만 빠른 것이 아닌 듯하다. 사춘기를 겪고 있는 자녀를 둔 부모들이 예전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말을 많이 한다. 무엇이, 어떻게, 왜 다를까? 그렇다면 사춘기 자녀를 대하는 올바른 방법은 무엇일까?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 속은 모른다'라는 말이 있다지만 그렇다고 포기할 정도로 아예 방법이 없는 것 아닌 듯하다.

사춘기 자녀를 둔 아빠이자 청소년 아이들의 상담자 역할도 하고 있는 저자가 그동안 아이들과 소통하면서 쌓은 노하우를 이 책 한 권에 담았다. 중2병. 사춘기를 일컫는 말이다. 요즘 시대의 사춘기의 '끝'을 보여주는 시기가 바로 중학교 2학년이다 보니 붙여진 이름이다. 저자는 그 아이들에게 '중2 킬러'라고 불린다고 한다. 그만큼 사춘기 아이들의 겉과 속을 꿰뚫어 보는 전문가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 그가 부모가 사춘기 자녀를 대하는 자세와 올바른 방법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해준다.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사춘기 자녀의 일을 이렇게 책을 읽으면서 상상을 해보곤 한다. 이 책의 저자처럼 오랫동안 아이들을 상담해오면서 쌓인 노하우를 갖고 있지 않은 내가 과연 잘 할 수 있을까. 사실 지금은 잘 모르겠다. 그래서 그때 좀 더 나은 모습으로 아이를 대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를 떠나서 모든 인간관계에는 상대방과의 이해관계가 존재한다. 그 관계 속에서 차이가 생겨나고 득과 실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그때,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방이 나와 다른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즉, 부모가 생각하는 기준으로 아이가 '왜 그럴까'를 고민하지 말고 아이의 입장에서 '왜 ​그럴 수밖에 없을까'를 고민해야 한다. 그랬을 때 부모는 아이와 진정한 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

육아/양육 둘 다 부모에게 결코 쉽지 않은 의무이자 책임이다. 어쩌면 이런 생각이 부모들을 더욱 압박하는지도 모르겠다. '내 아이만큼은..'하는 부모의 마음이 자신도 모르는 새 아이들에게 굴레를 씌우는지도 모르겠다. '부모가 원하는 데로 가 아닌 아이가 원하는 데로 키워야 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이 세상 모든 부모들을 위한 자녀교육의 진리가 아닐까 한다. 내 아이의 사춘기 이제는 방관하고 무시하고 포기할 것이 아니라 내 아이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며 대해야 할 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