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 포로원정대
펠리체 베누치 지음, 윤석영 옮김 / 박하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만약 당신이 전쟁 포로이며 수용소에 갇혀 있고 철조망 밖에 보이는 것이라곤 온통 운해로 뒤덮인 높다란 산밖에 없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철조망 밖으로 보이는 산과 사랑에 빠질 수 있을까? 수용소를 탈출해 철조망 밖에 보이는 저 산에 올라야겠다는 생각을 할 수 있을까? 미친 소리처럼 들리는 이 이야기는 허무 맹랑하게 지어낸 이야기가 아니다. 바로 세계사에 길이 남을 제2차 대전 당시 실제 있었던 실화다. 전쟁 당시 영국군의 포로로 아프리카 케냐의 수용소에 갇혀있던 저자가 직접 겪은 이야기다.

어느 날 갑자기 사막을 달리는 꿈을 꾼 평범한 직장인이 있다. 사막 마라톤. 국내에는 이름조차 잘 알려지지 않았던 시절부터 우연히 보게 된 TV 속 사막 마라톤 경주에 빠지게 된 그. 그는 바로 직장인 모험가 김경수다. 그는 말한다. 평범한 공무원이었던 그가 남들에게 미쳤다는 소리를 들어가며 자신이 그동안 한 번도 해보지 않았지만 진정하고 싶었던 꿈을 쫓아간다. "미쳤다는 말을 들어야 후회 없는 인생이다."라는 그의 책 속에 그의 꿈과 그의 모험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열렬한 산악인을 부모로 둔 펠리체 베누치의 경험적 에세이며 지금은 산악 논픽션의 고전이 된 <미친 포로 원정대>를 읽으면서 떠오른 이가 바로 직장인 모험가 김경수다. 그 이유는 두 사람 다 미쳤기 때문이다. 그것도 부러울 정도로 멋있게.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전쟁 포로들의 생활이란 의례 미래를 내다볼 수 없는 절망적인 삶이 고작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난 이후부터는 그건 결코 사실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말이 이렇게 와 닿기는 처음이다. 자신이 처한 상황을 부정에서 긍정으로 절망에서 희망으로 탈바꿈하기란 결코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순수한 열정으로 유머러스하게 해냈다는 사실이 그저 황당할 뿐이다.

그들을 그렇게 할 수 있게 만든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 후회 없는 삶을 살고자 했던 그들의 순수한 열정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그렇지 않고서는 그들이 산을 정복한 후 다시 포로수용소로 돌아올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그들을 미쳤다고 하는 반면에 누군가는 그들을 모험가라고 말한다. 스스로에게 물어본다. 나는 이들처럼 한 번쯤은 미친 삶을 살아본 적이 있었던가. 내 삶의 열정을 불태웠던 적이 있었던가.

매일이 똑같이 반복되는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는 나. 그런 나에게 이 책은 미쳐보라고 얘기한다. 괜찮다고 걱정하지 말라고. 그까짓 28일의 감방 생활이 별거냐고 자신의 삶을 낭비하지 말라고 다그친다. 현실에 안주하려는 나에게 따금하지만 진심 어린 충고를 해준다. 너무 늦지 않게 오롯이 나 스스로에게 미칠 수 있는 시간을 줘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