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몸놀이가 아이 두뇌를 바꾼다 : 0~7세 - 국내 최초 여섯 가지 신체 발달 요소를 시각화한 도구 활동저울 수록 ㅣ 엄마랑 아이랑 함께 자라기 1
질 코넬, 셰릴 맥카시 지음, 안진희 옮김, 정재희 감수 / 길벗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아이들은 정말 끊임없이 한순간도 멈추지
않고 말 그대로 움직인다. 아이를 키우고 있는 부모라면 누구라도 공감할 것이다. 아이 스스로 몸을 뒤집고 기어 다니기 시작하는 시기가 되면
그야말로 부모들은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주위에 아이를 키우는 엄마, 아빠를 가만히 지켜보고 있으면 부모들의 시선은 항상 아이를 향해 있다는
것을 금세 알아차리게 될 것이다. 그런 부모들에게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공통점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아이가 마음대로 '놀지'
못하도록 종종 행동한다는 것이다. '안돼'라는 말과 함께.
아이가 쉬지 않고 움직이는 데는 다 그
이유와 목적이 있다. 아이의 성장에 맞는 신체 발달과 두뇌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신체 발달은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겠는데 두뇌 발달까지?
쉬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 오랫동안 아동 발달 전문가로 연구와 활동을 해온 두 저자가 이 책에서 아이의 움직임 즉, 몸놀이가 어떻게 아이의
성장에 따른 두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떤 몸놀이들이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되는지를 부모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준다.
아이의 움직임이 어떻게 두뇌 발달에
영향을 미칠까. 아이가 하는 모든 움직임은 곧 학습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손으로 엄마, 아빠의 손가락을 잡는 것부터 몸을 뒤집고 물건을 잡고,
던지고, 팔을 흔들고 다리로 차고 하는 모든 행동들이 아의 행동 발달을 시키면서 두뇌 안의 신경회로를 서로 연결 시키며 복잡한 구조로 만들어
아이의 감각 인지 경험을 풍부하게 만든다. 이렇게 시작된 아이의 행동들은 곧 패턴화 된다. 즉, 의식하지 않아도 손과 발을 사용하는 기본적인
움직임이 가능해진다. 아이가 부모을 말을 알아듣고 말을 하거나 하는 좀 더 복잡한 학습은 아이의 움직임이 무의식적인 자동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가능해진다. 이 말은 아이가 자유롭게 움직이며 잘 논 아이들이 그렇지 못한 아이들보다 나중에 더 뛰어난 학습 능력을 갖추게 됨을
의미한다.
아이의 움직임에 왜 중요한 것인지 알았다면
이제는 부모가 먼저 아이들과 함께 몸놀이를 시작할 때다.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나타나는
'아이능력발달표'와 여섯 가지 아이 발달 기본 요소를 한눈에 보여주는 '활동저울'을 통해 내 아이의 성장 발달 시기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그 후 별책부록으로 실려있는 집에서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24가지 몸놀이가 소개되어 있는 '스마트 스텝
몸놀이북'으로 아이와 함게 재미있게 신 나게 몸놀이를 같이 하면 된다.
요즘엔 아이가 있는 집엔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육아 용품들이 있다. 아기띠, 카시트, 부스터, 점퍼루, 쏘서 등등. 외출을 하거나 아이에게 이유식을 먹일 때 유용한 것들도 있고 아이가
놀 수 있는 장난감도 있다. 저자는 이런 육아 용품들이 아이들이 자유롭게 활동하는데 방해를 하는 이른바 '컨테이너'라고 표현하고 있다. 아이
스스로 호기심을 갖고 이리저리 마음껏 움직이는 것과 달리 그런 육아용품들은 아이들의 행동에 제한을 두기 때문이다. 물론, 아이의 안전이나
부모들의 입장에서 아이를 돌볼 때 유용한 것은 사실이다. 문제는 아이가 놀 수 있도록 하는 시간보다 그렇지 못하도록 하는 시간이 많다는 점이다.
사실 한 아이의 아빠인 나조차도 너무나 당연한 듯이 사용해왔다. 그래서 사실 더 놀라웠고 조금은 충격을 받았다. 나도 모르게 아이의 두뇌 발달을
가로막고 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도구를 통해 아이의 활동에 제한을 두기보다는 아이가 마음껏 놀 수 있도록 주변을 항상 깨끗하게
정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뒤늦게 나마 아이에게 놀이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고 이제부터라도 내 아이가 마음껏
놀 수 있도록 해주어야겠다는 결심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