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웰컴, 삼바
델핀 쿨랭 지음, 이상해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이주민, 난민에 관한 이야기는 한국 땅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그리 낯설지 않은 것들이다. 여전히 남과 북을 가르고 있는 휴전선이 그 사실을 증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프랑스는 전
세계적으로 이주민, 난민 추방 정책을 강력하게 시행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다. 사실 이주민이나 난민 문제는 프랑스뿐만 아니라 어느 나라이건
조금씩은 다 존재한다. 중요한 것은 그들의 관한 융화 정책이다. 프랑스처럼 추방으로써 강력 대응을 하는 국가도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소극적인 대응책을 펴는 국가들이 있다. <웰컴, 삼바>는 이주민, 난민들을 위한 시민 단체에서 자원봉사로
활동했던 경험이 있는 작가가 프랑스 내에서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 소설의 힘을 빌려 그 실상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아프리카 청년 삼바는 이른바 '프렌치
드림'을 찾아 죽을 고비를 넘기며 프랑스에 도착한다. 그는 프랑스로 건너오기 전 아프리카에서 아버지의 죽음을 경험한다. 그의 아버지는 일하는
도중 다쳐 병원으로 후송되지만 열악한 환경 때문에 제때 치료받지 못한 채 결국 죽음에 이른다. 삼바는 아버지의 죽음으로 사람답게 살고자 결심하게
되고 그렇게 프랑스에 오게 된 것이다. 그저 인간답게 살고자 했던 삼바의 꿈이 너무 큰 것이었을까. 이곳 프랑스에선 그의 작은 꿈마저
묵살되버리고 만다. 그들과 다르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삼바를 비롯한 이주민, 난민들은 그거 값싼 노동력의 대상으로 밖에 비치지 않는다. 그렇게
10년이 넘는 프랑스 생활을 해오던 중 이제는 '진짜 프랑스인'이 되고자 정식 체류증을 신청하는 과정에서 경찰성에 방문하게 되는데 그곳에서
예기치 않게 체포된다. 영문도 모른 채 체포된 삼바에게 프랑스 당국은 아프리카로 무조건적인 강제 추방을 명령한다. 프랑스에서의 삶을 포기할 수
없는 삼바는 이주민, 난민 지원 센터에 도움의 손길을 요청하는데.. 삼바는 무사히 프랑스에 머물 수 있을까?
삼바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어디선가
본듯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아마도 TV나 영화에서 탈북 난민에 관한 이야기를 본 적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인간다운 삶을
위해 정말 목숨을 내놓고 탈북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렇게 말하고 있는 나조차도 실상 그들의 삶이 어떠하리라는 것을 짐작조차 할 수도 없다.
죽을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기며 두만강을 건너 제3국을 거쳐 남한으로 오게 된다고 해도 그들의 삶이 100% 보장되는 것은 아닌 듯하다. 양국의
관계, 정치적인 이해타산으로 인해 다시 북송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어떻게 본다면 이 또한 이주민, 난민 문제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이제는 대한민국도 다문화 국가이다.
국제결혼이 이제는 낯설게 느껴지지 않는다. 또한, '코리안 드림'을 찾아 한국으로 들어오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소설 속 삼바가 겪고 있는
문제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이제는 우리 주면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다. 하지만, 그들을 돕는 시민 센터의 자원봉사자들의
손길을 턱없이 부족하다. 사실 부끄럽게도 나와는 다른 삶이라는 생각이 낳은 결과가 아닐까 싶다. 배려와 봉사의 시작은 언제나 관심을 갖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가끔은 내 주변으로 눈을 돌려 나의 관심이 필요한 곳은 어디인지 찾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