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헌의 방외지사 열전 1 - 한세상 먹고사는 문제만 고민하다 죽는 것인가?
조용헌 지음, 백종하 사진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인간은 신의 섭리에 따라 살아간다'라는 말을 종종 듣는다. 그렇다면 신의 섭리에 따른 삶이란 대체 어떠한 삶을 일컫는 것일까. 얼마전 종영된 TV드라마가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불러 일으켰다. 만화를 원작으로 하고 있는 그 드라마의 제목은 바로 '미생(未生)'이다.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의 삶은 '완전한 삶'이 아닌 '반쪽자리 삶'이라 말한다. 하루 하루가 똑같은 삶의 연속의 굴레바퀴를 돌고 있는 우리의 삶도 신의 섭리에 따른 삶이이란 말인가 하는 의문을 갖게 된다. 이런 우리들에게 '하고 싶은 대로 한번 삶을 살아보는게 신의 섭리다'라고 말하는 이가 있다. 바로 이 시대 최고의 이야기꾼이라 불리우는 저자 조영헌 교수다. 방내의 삶만을 살지말고 방외의 삶을 살아보는것은 어떻겠냐고 조언한다. <조용헌의 방외지사 열전 1, 2>은 그런 저자가 이 시대에 방외의 삶을 살고 있는 여러 사람을 만나 그들의 삶을 살짝 들여다 본 이야기들을 엮어 놓은 것이다.

우리는 누구나 세상 밖으로의 일탈을 꿈꾼다. 허나 그 일탈을 정작 실천하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 왜 그런걸까. 방외의 삶이란 누구나 할 수 없는 특별한 이들을 위한 삶이란 말인가. 저자가 들려주는 방외지사의 이야기들을 읽으면서 든 생각은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방외의 삶 자체가 어려운것이 아니라 방외의 삶을 살기로 결정하기 까지가 어쩌면 특별한 그 무엇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우리 주변에는 제 2의 인생을 사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전 보다 더 나은 삶을 살아가는 사람도 있고 그렇지 못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도 있다. 의도한 것이든 그렇지 않은 것이든 그 삶 속에서 우리가 얻고자 하는 것은 똑같다. 바로 '삶의 행복'이다. 방외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다.

방외지사 열전에서 다루고 있는 인물들을 살펴보면 한가지 특징이 찾을 수 있다. 그것은 모두 방외의 삶을 살기전엔 우리처럼 평범한 삶을 살아왔다는 점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방외의 삶이란 어느 특별한 존재들을 위한 삶이 아니라는 점이다. 하지만, 현재의 삶에 많은 변화가 따르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듯하다. 방외의 삶이란 내가 진짜하고 싶은 것을 찾기 위한 여정의 시작이라고 해야겠다. 방외의 삶을 살면서도 여전히 자신을 향한 물음에 대한 답을 찾고 있는 분들도 있기 때문이다. 결국 방외의 삶을 산다는 것이 완생을 의미하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 같다. 완생이란 존재하는게 아니라 완생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 그 자체가 완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한번쯤은 재의 자신의 모든 것을 내려놓고 떠나보자. 그곳이 가까운 뒷산이든 머나먼 해외든 나혼자서든 가족과 함께이든 친구와 함께이든 상관없이 내 어깨에 짊어진 모든 짐을 내려놓아보자. 그것이 방외의 삶을 살아가기 위한 첫 걸음이 될 것이다. 꼭 깊은 산속으로 들어가 세속의 삶을 버리고 깨달음에 정진하는 삶만이 방외의 삶이 아니라는 점을 이제 알 것 같다. 왠지 모르게 마음이 한결 가벼워진듯한 기분이 드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범상치 않은 방외지사의 기묘한 이야기들을 체험했기 때문일까. 어느새 내가 방외의 삶을 위해 변하기 시작한 것일까. 무엇이든 마음가짐이 중요하듯 방내의 삶을 살아가는 우리가 방외의 삶을 살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나 자신도 변할 수 있다'는 믿음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