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의 위안
랜디 수전 마이어스 지음, 이창식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누구나 거짓말을 한다. 가족한테, 친구에게, 직장 동료 그리고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우리가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그 누구도 아닌 나를 위해서다.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 라는 질문에 언제나 '예스'라고 말 할 수는 없다고 해도 말이다. 가끔은 거짓말로부터 행복과 위안을 얻기도 하니 아주 틀린말은 아닌 듯하다. 무수히 많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많은 거짓말을 하면서도 가장 힘든 거짓말이 있다. 바로 내 마음을 속이고 상대방의 마음을 속이는 일이다. 그 거짓말은 모두를 희생시키는 결과를 종종 낳는다. 가장 슬픈 거짓말이다.

가정 폭력의 피해자와 가해자의 치유 과정의 여성의 시선으로 섬세하게 그려낸 <살인자의 딸들>​을 발표하면서 단번에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던 작가가 한 남자로 인해 상처받은 3명의 여성에 대한 이야기로 다시 한번 가족애의 치유에 대한 이야기를 발표했다. 3명의 여성은 각각 불륜, 모성애, 양육이라는 여성들이 흔히 겪을 수 있는 문제들을 통해 가족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할 기회를 제공한다.

대학교수이며 아내와 두 아이가 있는 한 가정의 가장인 네이선에게 평범하기 그지없던 일상에 변화가 찾아온다. 잔잔한 호숫가에 돌멩이가 던져져 물결이 일듯이 그렇게​ 그 인생에 그녀가 들어왔다. 그녀의 이름은 티아. 그들은 마치 전부터 만나야 했던 사람들처럼 서로를 탐닉한다. 서로에게 점점 빠져들던 어느 날 네이선은 티아로부터 임신한 사실을 전해 듣게 된다. 가정을 버릴 수 없었던 네이선은 티아에게 일방적으로 이별을 통보하고 임신 사실은 숨긴 채 아내 줄리엣에게 불륜 사실을 고백한다. 줄리엣은 부부의 신뢰를 깨트린 남편을 사랑하기에 용서하기로 한다. 한편, 티아는 혼자서 딸아이를 출산하지만 아이를 키울 자신이 없기에 아이를 입양시키기로 결심한다. 그렇게 티아의 아이는 캐롤라인 부부에게 입양이 된다. 자신의 일을 사랑하는 캐롤라인은 아이를 키우는 것에 자신감이 없다. 그런 그녀에게 육아냐 일이냐를 선택해야 하는 딜레마가 찾아온다. 5년이라는 시간을 훌쩍 뛰어넘은 어느 날 티아는 네이선을 그리워하며 딸아이의 사진을 보내는데 그로 인해 줄리엣은 남편의 숨겨진 딸아이의 존재를 알게 된다. 자신의 아이와 너무도 닮아버린 아이에게 모성애를 느끼며 아이를 만나기 위해 아이의 양부모인 캐롤라인에게 접근한다.

이야기는 3명의 여성인 티아, 줄리엣, 캐롤라인의 시선을 오며 가며 전개된다. 각자의 자리에서 나름대로 행복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자부하는 이들이다. 하지만, 한 꺼풀 벗겨보면 가정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아픔을 간직하고 있다. 그래서일까. 그녀들의 삶은 거짓말로 행복을 가장하며 자신들의 삶을 위로하고 있는 듯하다.

우리가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느냐 그렇지 못하냐 하는 것은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나의 삶이 부유한지에 따라서? 내가 누구와 결혼했는지에 따라서? 아이가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서? 나 아닌 다른 이가 바라보는 행복의 기준에 나를 맞춰갈 필요는 없어 보인다. 스스로가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다면 그것으로 만족한 삶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작가가 소설을 통해 말하고 싶었던 것은 가족의 의미인 것 같다. 서로 다른 삶을 살아온 이들이 결국엔 하나의 가족처럼 느껴지는 것이 바로 그 이유다. 서배너와 아너는 서로 다른 이름이지만 모두를 이어주는 하나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 그래서 그들은 조금은 특별하지만 낯선 또 다른 의미의 가족을 이룰 수 있는 듯하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