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는 재능이 아니다 - 세계적인 히트상품 개발자 8인의 성공 사례집
미사키 에이치로 지음, 손민수 옮김 / 리스컴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번뜩이는 아이디어! 당신이 무슨 일을 하고 있든지 간에 어느 순간 필요로 하는 것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아무나 그런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닌 듯하다. 어떻게 보면 그런 아이디어는 특별한 능력을 갖고 있는 소수의 전유물로 여겨지는 듯하다. 기발한 아이디어 하나로 존폐 위기에 있던 기업이 구사일생하는 것만 봐도 의심의 여지가 없는 것 같다. 하지만, 아이디어는 특별한 능력이 아니라고 말하는 이가 있어 관심이 집중된다. 경제, 경영 관련 전문작가이자 상품 개발 컨설턴트로 오래 일해온 저자가 내세운 이론이다. 특별한 능력을 갖고 있지 않은 다수의 사람들도 아이디어를 내는 방법을 배운다면 우리가 봐오던 기발한 아이디어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과연 그 방법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어떤 방법이길래 성공하는 아이디어를 낼 수 있단 말인가. 저자는 각기 다른 분야의 8개 기업의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그의 주장을 입증해 보이고 있다.

이름만 들어도 일본에서 유명한 기업들의 프로젝트에서 아이디어를 어떻게 내고 그로 인한 성공을 이루는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미를 과학으로 계량화하며 성공한 화장품 회사 카오, 스토리가 있는 스낵 자가리코를 만드는 제과회사 가루비, 아이디어 싱크 탱크 게임회사 세가, 증권의 블로오션 야간선물거래의 증권사 마쓰이 증권, 생활의 발견 우롱차 생산업체 산토리, 여성 속옷 브랜드 업체 와코루, 역발상을 무기로 한 컨설팅 회사 디지털 포레스트, 주방의 혁신을 꾀한 시스템키친 클린데이의 크리나프가 그 주인공들이다. 8개 기업에서 추진했던 프로젝트에서 리더들을 살펴보면 특출나게 능력이 있는 사람들은 아니다. 소위 천재형 리더는 아닌 것이다. 그렇다면 그들이 어떻게 프로젝트를 성공시킬 수 있었던 아이디어를 낼 수 있었을까. 그것은 바로 자기 분야에서 꾸준히 오랫동안 열심히 일해온 사람들이었기 때문이다. 그간의 노력과 경험을 통해 노하우가 쌓인 리더였던 것이다.

기발한 아이디어는 무조건 성공할까? 흔히 그럴 것이라 생각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해볼 때 말이다. 사용자의 상식을 벗어난 무모한 도전은 성공보다는 실패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다. 그래서 아이디어는 기발하기보단 좋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좋은 아이디어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조금 앞선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모두가 알고 있지만 미처 생각해내지 못한 것이 바로 좋은 아이디어이며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200페이지 남짓한 얇은 책에서 우리는 그동안 기발한 아이디어를 내기 위해 무수히 고민했던 시간을 보상받을 수 있을 것 같다. 저자가 보여주는 좋은 아이디어를 내는 방법들을 실 사례를 통해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다. 저자는 책 속 사례에 등장하는 이들과 여러 번의 회의를 하면서 이 책이 아이디어에 관해 감동과 깨달음을 줄 수 있는 아이디어에 관한 교과서적인 책이 되길 바랐다고 한다. 그리고 그런 그들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고 한다. 사진 속 그들의 모습은 하나같이 밝게 웃고 있는 모습이었다고 한다.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더 좋은 것을 만들기 위해 생각을 한데 모으는 일 그게 바로 좋은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가장 훌륭한 방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