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세 살, 학교 폭력 어떡하죠? 사춘기 어린이를 위한 심리 포토 에세이
임여주 지음, 김예슬 그림, 김설경 사진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부모라면 아이들의 학교생활에 대해 한 두 가지씩 고민을 안고 있을 것이다. 특히 요즘엔 아이들에게 사춘기가 일찍 찾아오기 때문일까 아이들을 향한 부모들의 고민은 날로 깊어만 간다. 아이를 학교에 보내고 난 후 내 아이가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과 무리 없이 잘 지내는지 걱정이 되기 마련이다. 최근에 빚어지고 있는 학교폭력에 대한 뉴스 기사를 보면 피해자가 내 아이는 아니겠지 하는 생각마저 들 때도 있다. 내 아이가 피해자가 아니길 바라는 것만이 중요할까? 반대로 내 아이가 가해자라면 어떻겠는가. 피해자와 가해자의 구분 없이 우리 아이들이 행복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고민하게 된다.

 

학교폭력은 크게 4가지로 나뉘는데 신체 폭력, 언어폭력, 사이버 폭력, 간접 폭력이 그것이다. 과거에는 신체 폭력이 학교 폭력의 대부분을 차지했다면 지금은 신체 폭력과 더불어 인신공격성의 언어적 폭력, 스마트폰 채팅을 통한 사이버 폭력 그리고 폭력행위를 남 몰라라 방관하는 간접폭력이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아이들은 자신도 모르게 이런 학교 폭력의 가해자와 피해자, 방관자가 되고 있다.

 

작가는 학교 폭력에 직간접적으로 가담하고 있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아이들이 학교 폭력에 올바르게 대처하고 처신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려주고자 한다. 각각의 폭력에 대한 사례를 이야기하고 사춘기 아이들을 위한 저자의 심리학 멘토링으로 폭력의 올바른 이해와 대처 방법을 논한다.

 

학교 폭력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미리 예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미 학교 폭력의 가해자와 피해자가 발생한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사후 대처가 아닐까 싶다. 폭력의 피해자 학생의 부모가 갖추어야 할 마음가짐과 아이들을 위해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부모를 위한 멘토링으로 공감을 자아낸다. 학교 폭력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또한 전문가와의 적절한 상담도 중요한 역할을 하리가 생각된다. 저자가 소개하는 학교 폭력에 대한 신고 방법과 상담 방법 등을 꼼꼼히 읽어보고 주지할 필요가 있을 듯하다.

 

책 속에 소개된 아이들의 이야기를 읽어보면서 드는 생각은 학교 폭력은 아이들이 자신도 모르게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어릴 때의 잘못된 사고와 행동은 아이가 성인이 된 후에 더 큰 문제를 양성하는 결과를 낳는다. 아이를 키우고 있는 부모의 입장에서 내 아이가 학교 폭력의 가해자 또는 피해자, 방관자가 되지 않도록 좀 더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개인주의가 팽배한 현대사회에서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내 아이를 올바르게 훈육하는 부모가 되어야 함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해준 시간이 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