앰트
대니얼 H. 윌슨 지음, 안재권 옮김 / 문학수첩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상상하는 미래사회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로봇'일 것이다. 인공지능, 사이보그, 안드로이드, 인조인간 등등 미래사회에서 인류를 대신하는 '로봇'의 다른 이름이다. 우리 인류가 로봇을 연구하고 생산하는 목적은 하나다. 인류의 보다 낳은 삶을 위해서이다. 하지만, 로봇과 인간의 공존은 그렇게 쉽지많은 않아보인다. 물론, 소설이나 영화를 보면 긍정적인 면보다 부정적인 면에 대한 내용이 많은 것도 그 이유가 아닐까 싶다.

우리가 지금까지 접해본 로봇을 소재로 한 소설이나 영화와 조금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는 소설이 있어 흥미롭다. 로봇공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저자가 그리는 미래사회는 바이오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기계를 통해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특별한 능력을 갖게되는 '앰프'와 순수인간과의 갈등과 대립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시간은 현재와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어릴적 사고로 인해 뇌에 큰 손상을 입었던 주인공 오웬. 하지만, 그는 앰프 이식 전문의였던 아버지에 의해 앰프를 이식받게 되고 살아나게 된다. 그 후 시간이 흘러 교사가 된 오웬. 앰프를 이식받은 그의 학생인 서맨사는 결국 자살을 하게되고 이후 앰프를 이식받은 자들은 순수 인간들의 영역에서 내쫓기게 된다. 그동안 자신이 이식받은 앰프의 숨겨진 비밀을 몰랐던 오웬은 앰프가 모여 살고 있는 에덴에서 자신에게 속한 앰프의 엄청난 능력을 하나씩 알아가게 되면서 '순수인간'과 '앰프'와의 대립에 맞서기 시작하는데..

'앰프'를 이식받은자는 인간인가? 로봇인가? '순수인가'이라 불리우는 앰프를 이식받지 않은 사람들에 의하면 그들은 인간이 아니다. 그 이유는 기계를 통해 원래 인간이 갖고 능력보다 월등한 능력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불평등의 이유를 들고 있다. 선천적인 뇌 장애를 갖고 있는 아이가 앰프를 이식받은 후 천재가 되어 버리는 경우가 그런 경우이다. 아무런 노력없이 자신보다 월등한 능력을 갖게 되는것은 신의영역을 침범한 것이라는 말이다.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이해가 되기도 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우리가 인간이라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인간이 갖고 있는 능력에 따라 구분되어 지는 것은 아닐 것이다.

앰프의 목적은 인류을 보다 낳은 삶을 위한 하나의 도구에 불과했다. 선천적인 장애를 치료하고 사고로 잃게 된 팔과 다리를 대신해주고 죽을 수 밖에 없는 생명을 살리는 기술일 뿐이다. 로봇을 비롯한 인류가 지향하는 미래 기술은 처음부터 나쁜의도로 연구되고 개발되는 것은 없다. 다만, 그 기술을 어디에 적용하고 어떻게 사용하느야 따라 인류를 위한 기술이 될 수 있고 인류를 파멸시키는 기술이 될 수 있다.

이제 우리 사회는 SF영화들의 배경이 되었던 미래 사회의 시간속으로 들어왔다.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는 미래 기술 덕분에 과거에 생각할 수 없었던 많은 일들을 지금은 아무렇지 않게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한다. 이 시점에서 우리가 지향해야 할 점은 바로 미래 기술에 합당한 우리의 인식과 사고를 기르는 일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