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6시간 앉아 있는 사람은 일찍 죽는다 - 암, 심근경색, 당뇨병, 치매 등 만병의 근원은 바로 움직이지 않는 습관이다!
쓰보타 가즈오 지음, 유규종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동안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얼마나 될까?
아침 저녁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루 24시간 중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어느정도인지 살펴보면 잠자는 시간,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회사 사무실 책상에 앉아서 생활하고 있을 것이다. 외근을 자주하는 직장인들을 제외하더라도 많은 직장인들의 생활패턴이다.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흡연만큼이나 우리 몸에 해롭다고 한다면 이 말을 믿을 사람이 있을까? 하지만,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만큼 운동하는 시간이 줄어든 현대인들에게는 믿을 수 없는 사실이다.


앉아서 생활하면서 좀처럼 몸을 움직이지 않는 것을 '사무적 생활양식'이라고 한다. WHO(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사무적 생활양식은 흡연, 불규칙한 식사, 과음과 함께 암, 당뇨병, 실현관 장애, 만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해 연간 약 200만 명이 사망한다고 한다. 이런 '사무적 생활양식'이 세계 사망 원인 10위 안에 들어갈 날도 멀지 않았다고 경고한다. 위와 같은 예측은 철저한 과학적 검증에 의한 것이다. 미국의 남녀 10만 명을 14년간 추적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일 6시간 앉아 있는 사람은 3시간 이하로 앉아 있는 사람보다 빨리 죽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이 필요하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으며 해가 바뀔때마다 세우는 목표중에 하나다. 하지만, 너무나 쉽게 포기하고 실천하지 못하는 것 또한 운동이다. 왜 이럴까? 아마도 운동에 대한 중요성을 잘 알지 못하고 막연하게 운동해야 건강하니까라는 생각만 갖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현대인들에게 건강을 해치는 생활양식에 대해 경고하고 이를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저자가 말하는 운동의 긍정적인 효과가 비단 신체적인 건강에만 국한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 새롭다.

우리가 운동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고정관념이 있다. 그것은 바로 운동을 하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머리가 나쁘다거나 공부를 못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이 책에서 이와같은 고정관념이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를 실제 사례를 통해서 입증하고 있다. 그 한 예로 미국 일리노이 주의 네이퍼빌 203학군에서 행해진 '새로운 체육 수업'에 관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네이퍼빌 203학군은 특별히 우수한 학생들이 있는 곳이 아니었는데도 불구하고 그곳의 학생들은 전 세계 38개국, 23만 명의 학생이 참가하는 TIMSS(국제 수학, 과학 교육 동향 조사)에서 각각 수학 세계 6위, 과학 세계 1위라는 성적을 기록한 것이다. 학생들은 수업 시작전에 운동장을 달렸다. 즉,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운동을 한 것이다. 운동을 하면 뇌의 뉴런에 새로운 연결망이 만들어진다고 한다. 뉴런 사이에 새로운 연결망이 만들어진다는 것은 뇌가 학습을 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수업 시작전 한 운동이 학생들의 학력 향상에 도움이 된것이다.

우리가 몰랐던 운동의 긍정적인 효과는 너무나 많다. 운동을 함으로 인해서 신체적인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더라 뇌에 영향을 미처 공부하는 학생들에겐 학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노인들에겐 알츠하이머병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운동은 우리 인간의 유전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운동을 한 사람을 보면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운동을 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젊어 보인다. 그것은 운동이 바로 장수유전자를 활성화 시키기 때문이라고 한다. 우리가 인간의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운동을 소홀히 해서는 안되는 이유이다. 늦었다는 생각이 든다면 아직 기회가 있다는 것이다. 책의 말미에 저자가 소개하는 '운동 실천편'을 통해 누구나 쉽게 언제 어디서든지 생활속에서 우리의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지켜줄 운동을 지금부터라도 실천해보는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