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처럼 출근하고 장자처럼 퇴근하라 - 일과 삶, 어느 것도 놓치지 않는 인생의 지혜
샤오뤄무 지음, 김성심.진화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천년이라는 긴 시간을 지난 이 순간에도 우리들에게 깨달음을 주는 옛 성현들이 많이 있다.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사람이 바로 공자와 장자가 아닐까 생각한다. 정신없이 바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왜 두 성현이 추구했던 사상을 통해 우리 삶을 돌아보아야 할까? 바로 일과 삶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다 잡기 위해서다. 아침일찍 출근해서 저녁에 퇴근하거나 야근하거나 하는 직장인들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일과 삶 중에 어느것이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것들이다. 그렇기에 책의 제목처럼 출근할때 공자의 가르침으로, 퇴근할때 장자의 가르침으로 평범한 일상에 잔잔한 파도를 일으켜 보는건 어떨까 한다.

 

상편인 '공자처럼 출근하라'에서는 우리가 출근하여 회사에서 일을 하는 과정속에서 부딪힐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해서 어떻게 처신해야 할지를 알려준다. 저자가 말하길 공자의 가르침은 일상생활 가운데서 남과 잘 어울리며 처세하는 일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심성을 함양하고 자기의 직업 기반을 안정시켜 미래의 발전을 위해 더욱 넓은 길을 펼칠 수 있게 해준다고 한다. '윗사람과 아랫사람을 대하는 철학', '말하기의 기술', '일을 이루는 지혜' 편과 같이 자신이 일하고 있는 곳에서 어떤 자세로 어떻게 일을 해야 하는것이 좋은지에 대해 조언 해주고 있다.

 

하편인 '장자처럼 퇴근하라'에서는 회사 업무를 마치고 귀가한 후에 어떻게 해야 보람된 삶을 살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준다. 많은 사람들이 퇴근 후에도 하던 일을 놓지 못한다. 힘들게 일한 후 지친 몸을 달래고 여유를 찾아야할 시간에도 끊임없이 일에 매달리게 되고 그로 인해 삶의 균형이 무너지게 된다. 이 시점에 우리는 스스로에게 자문해볼 필요가 있다. 과연 일이란 무엇인가 하고 말이다. 결코 일이 자신의 삶을 넘어설 수는 없다. 삶을 위한 밑거름이 되어야 할 것이다. '삶의 진정한 득과 실을 통찰하라', '행복한 가정에는 사랑이 넘치고 늘 웃음꽃이 핀다',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초심으로 돌아가라' 편을 통해 우리가 삶에 어떤 태도로 임해야 하는지 어떤 마음가짐을 갖아야 하는지 장자의 소중한 가르침을 배울 수 있다.

 

저자는 왜 두명의 옛 성현으로 우리의 바쁜 출근길과 늦은 퇴근길을 살펴보려 했을까? 그 시간이 하루를 시작하고 하루를 마무리하는 시간이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모든 일에 있서서 시작과 끝이 중요함은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일과 삶의 균형이 깨져버린 이들에게 과연 시작과 끝의 경계선이 있을까? 하루가 멀다하고 새로운 것들이 쏟아지는 21세기 스마트 세상속에서 우리가 천년의 긴 세월을 거쳐 내려온 지혜로 앞으로 내가 나아갈 길을 채워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