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의 도, 여우의 도, 인간의 도 - 이 셋을 가진 자, 세상을 움직인다
궁페이쉬안 지음, 류방승 옮김 / 쌤앤파커스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이라는 정글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살아남기 위한, 살아가기 위한 생존 법칙을 치열한 동물들의 먹이사슬에서 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늑대와 여우에게서 배울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게 다가온다.

 

늑대들은 길들여지지 않는 야생의 동물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길들여지지 않는다는 말은 다른 의미로 해석해본다면 흔들림없는 강인한 의지로 비견될 수 있을 것이다. 늑대만큼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무리도 없다고 한다. 그들은 조직의 협력에 의한 효율성의 효과를 알고 있는 듯 하다. 

 

여우는 옛부터 꾀가 많은 동물로 잘 알려져 있다. 자신보다 힘이 있는 사자나 호랑이의 힘을 빌어 자신은 힘들이지 않고 쉽게 먹이를 쟁취하곤 한다. 이런 여우의 모습에서 그들의 명민한 지혜를 배울 수 있을 것 같다. '나약해서 지는 것이 아니라 멍청해서 지는 것이다'라는 말이 이만큼 잘 어울리는 동물도 없는 듯 하다.

 

왜 하필 늑대와 여우를 통해 우리가 인생이라는 정글을 살아가기 위한 생존방법을 배워야 하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 이 세상의 모든 만들을 통틀어 늑대처럼 자신의 의지대로 행동하는 동물도 없다고 한다. 늑대는 자유를 억압받으면 그들의 목숨도 아까워하지 않고 저항한다. 이처럼 쉽게 굴복하지 않는 늑대의 기질은 무한 경쟁 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가 배우고 익힐 만한 가치가 있다.

 

하지만, 곧은 가지는 바람에 부러지는 법. 자신의 의지대로만 모든 일을 할 수 없는 때가 오기도 한다. 그럴땐, 꾀많은 여우처럼 주위의 자신보다 뛰어난 사람에게 도움을 청하기도 하고 상대방의 역량을 십분활용하여 위기 탈출을 꾀하는 것도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진짜 무서운 사람은 발톱을 드러내지 않는 법이다. 자신을 최대한 낮추고 감춰 기회를 엿보라. 기회는 때를 기다릴 줄 아는 자에게 반드시 오는 법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늑대처럼, 여우처럼만 살아갈 수는 없을 것이다. 강함과 유순함을 아우를 수 이는 미덕과 지혜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 싶다. 일을 하다보면 많은 리더들을 만나게 된다. 늑대같은 진취적이지만 소통이 어려운 사람, 여우처럼 유들유들하지만 일에 실속이 없는 사람 등등. 리더란 스스로 되는것이 아니라 같이 일하는 사람을 통해 리더가 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자신을 내세우기 위해 같이 일하는 사람들을 폄하하고 깍아내리는 사람은 진정한 리더의 자격이 없다. 남을 깍아내리는 방법으로 자신을 높이려 하는 사람은 오히려 반대의 결과를 초래할 뿐이다. 지혜로운 사람은 말을 할때 상대방의 입장에서 그 사람의 감정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반면에 어리석은 사람은 자신이 상대방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과시하기 위해 언행에서부터 인격을 깍아내리는 데만 열중한다.

 

똑같은 말이라도 어떤 상황에서 어떤 감정으로 말하느냐에 따라서 상대방에 받아 들이는 무게는 하늘과 땅 차이 만큼이나 클 것이다. 진정한 성공이란 물질적인 부를 쌓기 위해 노력하기 보다 인간적인 내면을 중요시하며 사람을 낚는 어부가 도기 위해 노력하는 자가 되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