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쇼크 - 중2병도 두렵지 않은 사춘기 연착륙 프로젝트
이창욱 지음 / 맛있는책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인이 된 지금 사춘기 청소년 시절을 생각해보면 후훗하고 웃음이 나옵니다.
돌이켜보면 그때 그 어린 나이에 말 못할 혼자만의 고민이 왜 이리 많았던 걸까요??


그렇게 했던 고민들 조차도 지금에선 한낯 웃어 넘길 수 있는 추억에 지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사춘기를 겪고 성인이 된 지금의 제가 옛 기억을 떠올리며 할 수 있는 말인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사춘기를 겪고 있는 아이들이나 겪게될 아이들에게 사춘기란 어떤 것일까요?

 

 

누구나 겪는 성장통
사춘기를 흔히들 이렇게 말하곤 합니다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난 후에는 결코 그렇게 쉽게 말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사춘기 자녀를 둔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의 달라진 모습에 당혹감을 감출 수 없다고 합니다. 갑작스럽게 달라지기 때문이죠.

 

처음의 당혹감은 점점 부모와 자녀간의 갈등으로 번지게 되고 부모들은 분노와 절망감에 사로잡히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런 감정은 아이들의 감정이 아닌 부모의 감정입니다. 아이들의 입장이 아닌 부모의 입장에서 아이들을 판단하여 내린 결론입니다.  

 

아이가 사춘기를 겪든 그렇지 않든 부모는 항상 자녀의 눈높이에 맞춰 아이를 대해야 합니다.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이 이 점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우리는 애완동물이 아니에요
자녀를 둔 부모가 가장 저지르기 쉬운 실수가 바로 '내 아이를 위해서~'라고 생각하는 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당연히 부모로써 내 아이를 위하는 마음은 가장 중요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것은 그 사랑이 지나쳐 아이를 숨막히게 하는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교육 열은 세계 문명국가 중에서도 당연 최상위죠.

소위 엄마들의 치맛바람 아빠들의 공부하라는 강요와 훈계 등등...

과연 이런것들이 정말 내 아이를 위한 최선인가 어른들은 다시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것 같습니다.

 

가장 좋은 교육은 '아이가 원할 때, 원하는 만큼' 해주는 것이 아닐까요?

무조건 공부, 공부, 공부만 강요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이의 재능을 발견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부모 스스로 놓쳐버리는 것은 아닌지요.

 

 

가장 필요한 것은 대화와 기다림
사춘기를 청소년들이 겪는 유별난 '병'으로 바라보지 않고

청소년들이 왜 그럴 수 밖에 없는지를 부모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시대가 변한 만큼 사춘기를 대하는 부모들의 인식도 달라져야 하고 대처하는 방법도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죠. 부모가 생각하는 자녀의 사소한 문제들이 자녀들에겐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는 생각을 잊어선 안될 것입니다.

 

자녀를 이해하기 위해선 자녀와 되도록 많은 시간을 보내어 유대감을 키워야 합니다.

또한, 잘못된 길로 갈까봐 조급한 마음에 아이를 다그치지 말고 여유를 갖고

아이가 원할때까지 기다려주는 시간을 가져야 될 것입니다.

 

 

사춘기는 영원히 지속되지 않습니다.

사춘기를 겪고 있는 청소년들 자신도 모르게 그 시기를 지나가게 됩니다.

우리 부모들이 그래왔던 것처럼 말이죠.

 

아이들이 성인이 되기위해 한번은 거친다는 사춘기.

그 사춘기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앞으로의 아이 인생이 달라질 것입니다.

 

부모는 아이의 미래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부모의 역할이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큰 힘이 된다는 말이겠지요?

어려운 것은 없습니다.

단지, 부모의 관심과 사랑이 필요할 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