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 이후는, 사람공부 돈 공부 - 40년간 금융기관 및 실전에서 경험한 돈 공부, 부동산 공부, 사람 공부 노하우
박길상 지음 / 리텍콘텐츠 / 2020년 5월
평점 :
마흔이라는 나이가 실로 새롭게 다가온다. 그전의 삶이 철없이 살아온 인생이었다면 마흔이라는 나이는 인생의 전환점이 되는 시기가 아닐까 생각된다.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그 나이가 되면 비로소 전과는 다른 책임감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혼자만의 삶에서 가족이라는 테두리가 만들어지고 함께하는 삶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흔을 중요한 시기로 보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물론 마흔이라는 나이로 그 범위를 한정 지을 필요는 없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그때쯤이면 전과는 달리 여러모로 생각이 많아지는 그런 때이기에 앞으로의 인생을 설계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게 아닐까. 어쩌면 이 책도 그 일환의 하나라고 보인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라는 말은 수도 없이 보고 듣고 자랐다. 그렇지만 이토록 실감한 적은 지금까지 없었던 것 같다. 그 말은 젊은 내가 아닌 나이 먹은 사람들에게나 해당되는 얘기라고만 여겼다. 그런데 정작 늘어가는 나이를 생각하게 되는 요즘 부쩍 의식하게 된다. 이 시기를 먼저 지나쳐간 인생 선배들이 보면 기가 찰 노릇이겠지만 어쨌든 지금의 내 현실은 그렇다. 어쩌면 나이에 대한 그런 생각들이 스스로를 조바심 나는 삶을 살게 하는 건지도 모르겠다. 늦었다는 생각이 들수록 더 빨리 가려고 하는 조바심에 지쳐버리는 건 아닐는지. 그런 나에게 이 책의 저자는 아직 늦지 않았다고 지금부터가 시작이라고 조언한다.
마흔 이후의 삶은 여러 생각들로 머리가 복잡해진다. 자녀 양육은 물론 부부관계, 직장, 노후 등 모든 것이 동시다발적이고 복합적으로 일어난다. 그중에서도 특히 은퇴 후의 삶에 더 신경을 많이 쓰게 된다. 그래서 그동안 해오지 않았던 재테크에 열을 올리기도 한다. 요즘엔 20-30대 때부터 노후 준비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기에 재테크가 마흔이 넘은 가장들의 몫이라고 할 수도 없겠지만 그럼에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사실이다. 그래서 이 책의 저자도 마흔 이후에 가장 중요한 것이 사람 공부와 더불어 돈 공부라고 강조하는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하지만 저자는 돈 공부보다는 사람 공부에 더 의미를 두고 있는 듯하다. 저자는 마흔 이후의 삶은 Retire가 아닌 Restart라고 강조한다. 공감한다. 사실 20대 아니 30대까지만 하더라도 마흔이라는 나이가 정말 멀게 느껴졌다. 마흔이라는 나이는 은퇴라는 단어와 잘 어울리는 나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정작 마흔이 되고 그 나이의 삶을 살아보니 전혀 그렇지가 않다. 여전히 활발한 경제활동을 하고 있으며 어쩌면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정점의 시기를 지나고 있다. 물론 그것이 은퇴를 고려치 않는다는 것은 아니지만 꼭 은퇴를 염두에 두며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세상의 기준으로 늦었다고 생각하는 그런 나이에 제2의 인생을 시작한 많은 사람들이 있다. 치매 위험 진단을 받은 후 손녀와 함께 떠난 호주 여행에서 새로운 인생이 시작된 유튜브 최고 스타 박막례 할머니, 평생 순대 국밥집에서 일해오다가 망했지만 모델이라는 꿈을 포기하지 않고 도전하여 당당히 인기 모델이 된 65세 김칠두 할아버지, 노모 간병을 하면서 사람들과 소통하고 싶어 혼자서 프로그래밍을 공부하여 구글 본사에서 강의까지 하게 된 일본의 82세 와카미야 마사코 할머니, 평생을 가정부 일과 농장 일을 해오다가 76세에 취미로 시작한 그림 그리기로 88세에 '올해의 젊은 여성', 93세에 <타임>지 커버로 선정되기도 했던 미국의 국만 화가 모지스 할머니가 바로 그분들이다.
노후에 비교적 안정적인 삶을 위해서는 약 월 200만 원이 필요하다고 한다. 노후에 돈이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지만 돈만 있다고 행복한 노후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돈과 삶의 적절한 조화가 이뤄줘야 당신이 원하는 행복한 노후를 꿈꿀 수 있다. 마흔 이후의 삶은 끝을 향해 달려가는 인생이 아니라 새로운 출발점에 도착하기 위해 달려가는 인생이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족을 더불어 내가 연을 맺고 있는 사람들과의 인간관계도 중요하다. 그들이 앞으로 남은 내 인생의 동반자가 되어줄 것이기 때문이다. 마흔 이후를 준비하는 이들에게 돈 공부와 사람공부가 필요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