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애의 도시 이야기 - 12가지 '도시적' 콘셉트 김진애의 도시 3부작 1
김진애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들어서 내가 살고 있는 도시에 부쩍 관심이 많아졌다. 그 시작은 내 집이다. 나와 내 가족이 주거의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존재론적인 매개체로서다. 그것을 바탕으로 내가 살고 집을 둘러싼 도시와 또 다른 도시들을 둘러싸고 있는 커다란 의미의 또 다른 도시인 대한민국, 나아가 해외의 역사 깊은 도시들까지 지경이 넓혀지기에 이르렀다.

현대인에게 도시란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 것일까. 도시는 사회를 사회답게 해주는 매개체다. 수많은 건물들은 인간의 삶과 어울려 도시를 구성한다. 도시는 더 이상 건물들의 집합체가 아니다. 그 안에는 인간의 삶이 빠질 수가 없다. 인간의 생기가 없는 도시를 가리켜 죽은 도시라고 부르는 까닭이다. 따라서, 도시 이야기를 할 때 그 안에서 어우러지는 인간의 삶과 건물들의 융합이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사람이 들어오면 도시는 이야기가 된다"라는 저자의 말에 우리가 공감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인간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아니, 도시에서 사람을 빼놓을 수 없는 불가항력적인 관계 속에서 도시에 관한 이야기를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하고 어떻게 이야기를 해야 할까. 완전히 우리의 삶의 일부가 되어버린 도시에 대해서 한 번도 깊이 있게 생각해본 적이 없기에 어려움이 느껴진다. 저자는 그런 독자들의 마음을 잘 헤아리는고 있는 듯하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우리가 도시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 12가지 콘셉트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가 익히 봐온 건물부터 한 번도 본적 없는 해외 도시의 건물까지 시공간을 넘나들며 유수히 흐르는 강물처럼 도시 이야기를 들려준다.

도시를 바라보는 여러 콘셉트가 있지만 나는 그중에서 인상 깊었던 3가지 콘셉트로 바라본 도시의 모습들을 이야기하려고 한다. 그 첫 번째는 익명성이다. 인터넷이 제2의 현실이 되어버린 지금 '나'란 존재를 드러내지 않는 방법은 사실상 없어졌다. 하지만 우리가 자유롭게 다니는 길과 많은 이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공간인 광장은 다른 어느 곳보다 익명성이 보장되는 공간이다. 길도 그렇지만 이제는 광장이 갖고 있는 의미는 남다르다. 우리에게 광장은 그저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고 스치듯 헤어지는 공간 이상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광장을 통해 그동안 우리가 보여준 모습들은 변화의 물결이었다. 이전에도 광장은 역사적인 사건 속에서 그 힘을 유감없이 발휘했었다. 그것이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어져 나갈 것이란 생각이 든다. 다만 광장은 그 누구의 소유도 아닌 모두의 광장이기에 다른 어느 것보다 표현의 자유가 보장된다. 그것이 비록 누군가의 생각과 다를지라도 말이다.

두 번째는 욕망과 탐욕으로 바라보는 도시다. 대한민국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이례적인 도시다. 그렇게 단정할 수 있는 이유는 다름 아닌 현대인이 가장 선호하는 주거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아파트 때문이다. 대한민국이라는 도시에 살면서 아파트가 없는 공간이 있을까. 없다. 그만큼 아파트는 한국 사회에서 도시가 도시의 역할을 하기 위한 필수 불가결한 건물이 되어버렸다. 그래서일까. 아파트는 이제 단순한 주거공간의 의미를 벗어났다. 언제부터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돈벌이 수단으로 전략해버린 지 오래다. 그래서 아파트에는 사람들의 욕망과 탐욕이 깃들어 있다. 아파트는 도시의 행태를 일순간 뒤바꿔 놓는 존재다. 사람 냄새 풍기는 길과 골목을 끊어 없애버린다. 홀로 우뚝 솟아 있는 성 같은 존재가 아니라 도시적 삶과 융합되는 그런 존재가 되어야 한다. 갇힌 공간에서 벗어나 주변과의 어울림이 자연스러운 그런 공간으로서 말이다.

세 번째는 돈과 표, 이 시대 도시를 만드는 힘에 대한 이야기다. 사회가 발전을 거듭할수록 사회를 구성하는 계층 집단 간의 차이는 더욱더 극명하게 차이가 난다. 그런데 이러한 양극화는 비단 현대인들에게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도시들 간의 양극화도 그에 못지않다. 지금의 수도권과 지방 도시들의 차이를 생각하면 쉽다. 그런데 이러한 양극화는 같은 도시 속에서도 벌어진다. 재개발, 재건축을 비롯한 부동산 개발은 도시 속 양극화를 극대화한다. 마치 사회 계층 간의 소득 불균형에 따른 양극화가 도시화되어가는 느낌이다.

도시란 무엇인가.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도시는 현대인에게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삶의 터전이다. 그런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다름 아닌 우리다. 도시가 이야기가 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다름 아닌 사람이다. 서두에서 언급했던 '사람이 들어오면 도시는 이야기가 된다'라는 저자의 말은 이렇게 다시 한번 증명된다. 그렇다면 우리가 도시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여전히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도시의 생명력을 느끼기 위함은 아닐까. 또한 다가올 미래 사회에 그려질 도시에 대한 우리의 관심의 증표는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