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yonchen 2007-08-20
선생님 안녕하세요. 링크를 따라오다보니 이곳까지 오게 되었네요. 선생님께서 영어공부란에 올려 놓으신 글을 보니, 다른 사람들에게 영어를 가르칠 때 더욱 조심스럽게 설명해야 겠구나 하는 생각도 들고 제 자신이 아는 것도 없이 너무 나댄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선생님 표현을 따르자면 저도 '비분강개'파의 일원이라고 할 수 있을 텐데요. 이제와 생각해보니 아직은 비분강개할 자격도 없는 것 같습니다. 전공은 영어학과인데도 통번역과 수업만 따라다닌 덕분에 '하체'가 부실한 운동선수가 되어버린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상체라도 튼튼하면 다행일텐데 말입니다. ^^; 선생님의 좋은 글 앞으로도 기대하겠습니다.
최근에 궁금했던 문법관련 사항이 있는데요. 아래 내용은 제가 혼자서 생각해본 것입니다.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나 추가해야할 사항이 있는지 선생님 조언을 구해보고자 합니다. 예문은 제가 직접 작문한 것이라 좀 어색할 수 있으니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01) Automobiles made in Germany are usually expensive.
1)번 문장에서 다수의 학원강사 및 교사분들이
made 앞에 "관계대명사 + be"가 생략된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생략되었다고 하는 which와 be를 복원시키면 완벽한 문장이 됩니다.
(02) Automobiles which are made in Germany are usually expensive.
(03) I saw a man searching for his dog.
(04) I saw a man who was searching for his dog.
3)번 문장도 "관계대명사+be"를 복원시키면, 4)번 문장과 같이 완벽한 문장이 됩니다.
하지만 "관계대명사+be"를 복원시켰을 때, 문법적으로 옳지 않은 문장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05) A teenager wanting to be a pop star should realize that it's not that easy.
(06) A teenager who is wanting to be a pop star should realize that it's not that easy.
6)번 문장은 비문이 됩니다. want는 진행형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강조의 의미로 want를 진행형으로 쓸 수 있지 않냐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07) I am really wanting you to kiss me right now.
7)번 문장은 '어느정도' 가능하다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6)번 문장은 7)번 문장 처럼 강조를 해야 할 상황이 아닙니다.
따라서 5)번 문장은 6)번 문장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문장이어야 합니다.
(08) A teenager who wants to be a pop star should realize that it's not that easy.
비슷한 예로 동사 possess나 resemble을 들 수 있습니다. resemble을 예로 들겠습니다.
(09) I am in love with a boy resembling his father in everything.
(10) I am in love with a boy who is resembling his father in everything.
10)번 문장은 역시 비문이 됩니다.
10)번 문장은 아무리 강조를 한다고 해도 절대 진행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9)번 문장은 원래 다음과 같은 문장이어야 합니다.
(11) I am in love with a boy who resembles his father in everything.
이상의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ing 또는 -ed 앞에 "관계대명사+be"가 생략되었다는 설명은 -ed 인 경우에는 표면적으로는 옳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ing인 경우에는 표면적으로도 옳지 않은 경우가 분명히 존재합니다.
또한 제가 읽어본 원서문법서 중에서 "관계대명사+be"의 생략을 언급하는 책은 없습니다. 참고로 일반적인 관계대명사의 문법을 따르자면 본 논의에서 제기되는 모든 관계대명사는 주격이므로 당연히 생략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be가 생략되는 것은 "to be" 또는 "being"과 같은 경우에만 발생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제 시각을 달리해서 -ed 또는 -ing가 앞에 "관계대명사+be"가 생략된 것이 아니라
단지 형용구로 앞에있는 명사를 후치수식하는 분사로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12) A teenager wants to be a pop star.
(13) The teenager should realize that it's not that easy (to be a pop star).
12)번 문장과 13)번 문장을 분사를 이용하여 합성하면 다음과 같은 문장이 됩니다.
(14) A teenager wanting to be a pop star should realize that it's not that easy.
14)번 문장은 5)번 문장과 같은 형태가 되었습니다.
즉, 14)번과 5)번 문장의 wanting은 앞에 "관계대명사+be"가 생략된 것이 아니라 분사임이 증명되었습니다. 또한 wanting의 -ing는 진행형의 -ing가 아닌것이 입증되었습니다.
(15) I am in love with a boy.
(16) The boy resembles his father in everything.
(17) I am in love with a boy resembling his father in everything.
마찬가지로 15)번과 16)번 문장을 분사를 이용하여 합성하면17)번 문장이 되고, 17)번 문장은 11)번 문장과 같은 형태입니다. 즉, 17)번과 11)번 문장의 resembling은 앞에 "관계대명사+be"가 생략된 것이 아니라 분사임이 다시한번 입증 되었습니다. 또한 resembling의 -ing역시 진행형의 -ing가 아닌것이 다시한번 입증되었습니다.
"과연 분사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로 논의가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한가지 확인하고 넘어가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분사 자체가 "관계대명사+be"가 생략됨으로써 탄생하게 된 문법사항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하지만 이미 확인했다시피 위에서 언급한 wanting과 resembling은 진행형인 be -ing의 -ing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즉, 분사라는 것은 "관계대명사+be"가 생략됨으로써 탄생하게 된
문법사항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이로써 분사는 독자적인 문법적 지위를 가졌다는 것을 재확인 하게 됐습니다.
결국, 분사 앞에 "관계대명사+be"가 생략되었다는 주장은 그 근거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주장을 하는 것일까요? 다음과 같은 이유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a) 학습자는 주어가 관계대명사의 모습으로 명확히 드러나고
동사 또한 시제를 가지고 명확히 드러나 있는 관계대명사 문장을 보다 쉽다고 인식한다.
b) 반면에 분사의 경우 주어가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동사가 -ing 형태로 등장함으로써 동명사와 구분해야 하며 시제가 표면적으로 들어나지 않는 번거로움이 있다.
c) 따라서 "관계대명사+be"가 생략된 것으로 설명하면 학습자는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게된다.
결론: 명사를 수식하는 -ing또는 -ed 형태에서 "관계대명사+be"가 생략되었다는 주장은 wanting과 resembling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그 근거가 없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명하는 이유는 학습자의 편의를 위한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습자의 편의를 위해서라도 존재하지 않는 문법을 만들어 내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얼마 남지 않은 여름 건강하게 보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