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홀리 가든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마음이 복잡하고, 어떻게 해도 차분히 가라앉히기 힘들때 에쿠니가오리의 책들을 읽다보면 어느새 진정된 내 마음을 느낄 수 있다. 예전에는 그 글들이 참 건조하다고 생각했었다. 결코 나쁜의미에서의 건조가 아닌, 가을의 마른 낙엽을 밟았을때 나는 그 건조한 기분 좋은 소리를 들었을때와 같은 느낌을 받는다고나 할까? 그래서 가끔은 그녀의 소설을 읽고 싶어지는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어렸을때부터의 친구인 가호와 시즈에의 이야기를 묵묵히 풀어나가고 있다. 어렸을때부터 둘도 없는 친구사이였으니, 그만큼 의지하고 속박하고 그렇게 성장하였으리라. 그러다 가호에게 남자가 생기고 난후, 두 사람의 관계는 서먹서먹해지고 만다. 그래서 어느정도의 거리가 생기게 되는데, 어떻게 보면 그 거리가 만큼 서로에게 편해지는게 아닐까 싶다. 비록, 완전히 거리를 둔게 아니므로 중간중간에 만나는 남자들에 대한 질투 아닌 질투를 느끼게 되고, 상대방을 불편하게 만드는 이야기를 불쑥 내뱉기도 하지만, 차차 서로에게 적당한 거리를 두면서 평생지기 친구로 남게 되지 않을까 싶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인간관계가 어느정도 거리감이 있을때 편해진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학창시절처럼 매일 전화하고, 매일 얼굴보고 그러면서도 전혀 주제가 줄어들지 않아 문자까지 계속 했던 그런 관계보다는 가끔 전화해도 매일 전화한것처럼 편하고, 한동안 연락이 없어도 전혀 어색해짐이 없는 그런 관계가 더 편해지고 더 익숙해지는것도 이런 이유때문일 것이다.
이 책속에서는 등장인물중에서 누군가를 한없이 사랑하고,속박하는 캐릭터는 없다. 시즈에와 세리자와의 관계를 보더라도 서로 얼굴만 봐도 행복감에 취하고, 떨어져 있더라도 상대방을 생각하며 얼굴에 미소가 떠오르지만, 그건 어쩌면 계속 부대끼고 사는게 아니라 가끔 보는 원거리 사랑을 해서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그래서 시즈에가 세리자와의 이별시간이 되면 아쉬운 마음도 있지만, 홀가분한 기분도 함께 찾아드는게 아닐가? 이에반해, 가호가 5년전에 한 사랑은 그런 거리가 있는 사랑은 아니였을 것이다. 그래서 그렇게 5년이 지난 후에도 과거속에서 허덕이며 괴로워하는지도 모르겠다. 그 적당한 거리의 편안함을 알고 그런 방법으로 새로운 남자인 나카노와 사랑을 할 것같은 여운을 책에서는 준다.
읽는내내 모든 관계가 이렇게 편하다면 세상살 맛이 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모두다 적당한 거리를 두고 생활을 한다면 그렇게 아웅다웅하지 않아도, 또는 혼자서 마음 졸이지 않아도 서로 행복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그럼 그땐 또 다른 문제가 찾아오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