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 앙투아네트 베르사유의 장미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전영애.박광자 옮김 / 청미래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다읽은지는 꽤 된거 같은데, 리뷰 쓰기가 무척 힘든거 같다. 이 책은 소설도 아닌것이 그렇다고 자서전도 아닌것이 뭐라 설명하기 힘든 책인것 같다. 그러나, 한 여자의 인생을 알기에는 충분하다고 생각되어진다.

맨처음에는 마리 앙투아네트에 대하여 분개를 하며 책장을 넘겼었다. '이여자 바보 아니야? 아무리 몰라도 그렇게 모르고 철딱서니가 없어?'라며 혼자 화가 났었더랬다. 자신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서 시민들의 피같은 세금을 가지고 모하는건가 하는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책을 다 읽고 생각을 해 본결과, 어쩌면 그럴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요즘 아이들이 '밥이 없으면 라면 먹으면 되지 않아?'라고 질문을 던지는 것처럼 마리 앙투아네트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왕가에서 태어나 얼마나 부족함이 없이 살았겠는가? 그러니, 배고픔과 가난이 어떤 것이라는것은 어쩜 상상도 못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마리 앙투아네트보다는 그녀를 그렇게 만든 루이16세가 더욱 무능력하고 무책임하다고 느꼈다. 그는 한나라의 왕이 되기 보다는 그저 사냥과 책이나 읽으며 일생을 보내는 귀족이나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런것이 세습왕조의 폐해가 아니겠는가? 왕이 되기엔 능력도 없고, 재미도 없는데, 하기 싫고 머리아픈일을 자꾸 하라고 하니 루이 16세도 인생이 쉽지만은 않았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점점 책의 후반부로 갈수록 나는 마리 앙투아네트를 다시 보게 되었다. 일의 사태를 잘 파악하고 있을 뿐더러 왕비의 품위까지 잃지 않았으니 정말 쉽지 않은 일이었을 것이다. 요즘 무슨일이 벌어지면 서로 발뺌하고, 거짓말에 거짓말을 보태면서까지 자신의 자리를 잃지 않으려고 하는 요즘 정치인들을 볼때, 그녀 같은 정치인이 우리나라에 한명이라도 있었으면 덜 세상이 시끄럽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어쩌면 마리 앙투아네트는 왕비가 되기 보다는 왕이 되었더라면, 옆에서 조금만 더 보조를 잘 해주고 잘 키웠더라면 역사책에 사치의왕비라는 오명 보다는 훌륭한 왕으로서 우리의 역사책에 자리를 잡지 않았을까하는 생각도 해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6-05-10 21: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설도 자서전도 아니라 이 책은 전기(biography)입니다. 츠바이크는 전기작가로도 유명한 사람

보레아스 2006-05-11 08: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츠바이크가 전기작가로 유명한건 몰랐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