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 본능 - 불, 요리, 그리고 진화
리처드 랭엄 지음, 조현욱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을 이용하여 음식을은 만드는 행위야말로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인간을 유인원과의 구분짓고 진화의 단계에서 비약적인 진화를 할 수 있게 한 것은 직립보행, 도구 이용, 불의 발견, 사냥 등이지만 그 어떤 것도 요리만큼 획기적인 변화를 초래할 수는 없었다.  익힌 음식을 먹음으로서 소화가 쉬워졌고 에너지의 섭취가 많아졌다. 따라서 인류의 조상은 소화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었고, 그 결과 소화를 위한 장기의 크기가 줄어들고 뇌가 커지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  

  음식을 익히는 행위, 즉 요리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위험한 행위다. 열린 공간에서 요리를 하려면 불을 피워야 하고 연기가 퍼지는 위험을 감수해야 하며, 음식이 익으면서 나는 냄새는 위험한 다른 종류의 동물들 뿐만 아니라 동족인 인간을 불러들이기도 한다. 특히 근육량이 많은 동족 인간 남자는 육체적으로 열세인 인간 여자로부터 요리된 음식을 강탈할 가능성이 높다. 거기서 거래가 시작된다. 남자는 안정적으로 맛있고 영양 많은 음식을 제공받고, 여자는 음식을 나누어줌으로써 안전을 얻는다. 이것이 결혼의 조건이다. 이것이 저자가 이 책을 통틀어 주장하는 바다.

  지금껏 읽어 본 인간 진화에 관한 책 중에 이 책만큼 새로운 것은 없었다.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은 무엇인지 고민하고 책을 써왔다.  그만큼 인간에게 붙은 이름도 다양하다. 호모 사피엔스, 호모 파베르, 호모 루덴스 등등등. 그렇다면 요리하는 인간은 뭐라 이름 붙여야 할까? 저자는 그런 이름을 짓는 데는 관심이 없었던 듯하다. 나라도 라틴어를 배워뒀다면 멋지게 이름 붙일 수 있었을 텐데, 안타깝다.

  지금까지의 이론들은 대부분 결혼이 계약이라는 데 동의한다. 여자는 자신과 자녀의 안전과 부양을 위한 자산을 보장받고, 남자는 다른 남자의 아이를 양육해야 하는 부담에서 벗어나 자신의 유전자를 번식시킨다는 약속을 받는 것, 결혼을 발생시킨 이유라고들 한다. 유전자의 번식이야말로 생명체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이니까.  결혼제도에 대한 연구들이나 사이코패스를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설명해주는 <이웃집 살인마> 같은 책들도 이 이론을 바탕에 두고 있다.  

  그런데, 이 책, <요리본능>은 이런 이론들을 송두리째 뒤흔들면서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종족 번식을 위한 행위가 아니라 질 좋고 맛있는 먹을 거리라고 말한다. 영양가 많은 맛있는 음식이야말로 거래를 위한 최고의 조건이라는 것을 아직까지 존재하는 수렵채취인들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음식을 해줄 여자가 없는 남자야 말로 가장 불쌍한 존재이고, 음식을 해줄 아내를 구하기 위해 청년들이 60살 가량의 과부와 결혼을 하는 현상들. 아내가 다른 남자와 잠자리를 하는 건 그냥 불평거리에 불과하지만, 다른 남자에게 음식을 주면 심각한 문제가 되는 이들 말이다.  

  이렇게 흥미로운 이론을 여러 증거들을 제시해 가면서 설명하다 결말은 시시해졌다. 부드럽고 열량 많은 음식을 선호하도록 진화한 우리 인간은 이제 에너지의 과잉섭취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니 영양학자들과 관계자들은 나서서 제대로 된 영양표를 제시해서 무엇을 먹는지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흥미진진한 인류학에서 갑자기 영양학의 전도서가 된 느낌이다.  

  게다가 요리를 거래하는 결혼제도에 집중한 나머지 요리하는 남성들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다. 지금도 한다하는 주방장들은 남자인 경우가 많이 있는데, 우리의 진화적 본능에 따르면 그들은 새로운 종족인 거다. 어쩌면 그들도 집에서는 아내의 요리를 기대하고 먹을지도 모르겠다. 저자에 따르면 현대의 미국에서도 남편은 아내의 요리를 먹을 권리가 있다고 인식한다고 하니까. 생각해보니, 가끔 특별 요리를 해 주는 남편도, 끼니는 내가 해 주길 바란다는 점에서는 저자가 옳을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요리를 꺼려하는 나는 어디로 진화하고 있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