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갖기를 주저하는 사회 - 사회를 이해하는 세 가지 인구 프리즘, 2020 전국지리교사모임 추천도서, 제19회 대한민국 독서토론 논술대회 도서
윤정현 지음 / 푸른길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지리학자인 저자가 인구문제라는 한국 사회의 이슈에 대해 질문하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가 1. 정말 문제인지, 2. 누구에게 문제인지, 3. 좋은 점은 없는지라는 질문들인데

이것들을 저출산, 고령화, 맬서스라는 세 가지 프리즘을 통해 바라본다.

'저출산'에서는 인구가 너무 많으면 문제라더니

이제 와 인구가 준다고 문제냐라고 반문하면서 다른 나라의 통계와 비교한다.

그리고 인구가 감소한다고 해도 적정한 수준만 유지할 수 있다면

오히려 생활수준 향상에 도움을 둔다는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고령화'에서는 이미 초고령 사회에 들어섰다는 점을 강조하며

우리에게 필요한 것들은 노인들도 잘 살 수 있는사회 제반시설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한다.

많은 데이터와 도표들 중에 제일 인상 깊었던 건,

'한국 사회 노인들의 시대별 집단' 표인데

이걸 보고 있으면 연령별로 어떤 시대를 겪어왔는지 구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하는데

당연한 걸 잊고 있었단 생각에 마음이 좀 아프기도.


'맬서스'에서는 맬서스의 인구이론을 비판하며,

그가 살던 시대의 영국의 빈민과 부랑자의 삶을 조명하고는

가난한 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여전히 같다는 점을

영화 <설국열차>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결국 인간은 숫자로만 표현될 수 없는 존재라는 점,

'성장'의 꿀물이 공정하게 배분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니

'적정 인구'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합의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른다.

이 책은 11회 성남시독서토론대회 중등부 토론도서인데

중학생 수준으로 어떻게 읽어내고 토론할지 몹시 기대된다.

https://m.blog.naver.com/bookanddebate/223480336155

영국의 지리학자 존 앤더슨은 "맥락에 관심을 가지는 학문이 지리학이며, 지리학은 어떤 맥락이 특정한 행위와 목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려는 학문 - P7

절대군주 시대에는 통치하는 지역에 대해 낱낱이 알 수 없었지만 근대국가에서는 그것이 가능했으며, 또한 그래야만 통치를 할 수 있었다. ……국가를 구성하고 있는. 인적·물적 자원에 대한 완벽한 지식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 P23

21세기 한국에 살고 있는. 우리들이 고민하고 있는. 것을 100여 년 전 프랑스의 많은 사람들이 했던 것이다. …… 즉 인구 감소를 국가적 재앙으로 간주했다. - P99

진화적 관점에서 현대 사회의 저출산을 설명하는 가설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현대의 극히 낮은 출산율은 수렵-채집 생활에 맞추어진 인간 심리적 적응이 진화적으로 낯선 환경과 불협화음을 일으킴에 따른 부작용의 산물이라는 가설이다. 둘째,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이 자녀를 적게 낳는 행동이 전파되거나, 가족 중심의 네트워크가 붕괴하여 출산의 중요성이 덜 강조됨에 따라 저출산이 야기되었다는 유전자-문화 공진화 가설이다. 마지막으로 부모가 자녀에게 투자하는 비용이 많은 현대의 환경에서 극심한 저출산은 부모의 장기적인 적합도를 최대화하는 적응적인 형질이라는 가설이다. - P71

중간 정도의 저출산과 인구 감소가 더 높은 수준의 물질적 삶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75

마르크스는 인구문제를 식량 공급과 관련시키지 않고 사회·경제적 체제와 관련된 자원 분배 문제로 보았다. 따라서 인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경제적 체제의 변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맬서스는 과잉 인구를 자연법칙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마르크스는 상대적 잉여 인구, 즉 실업자의 발생은 자본주의의 구조적 문제 때문이라고 본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21세기 우리 사회와 지구촌에서 벌어지고 .있는 수많은 금융·경제 위기 그리고 그 이후 발생하는 대량실업 사태는 누구의 책임이며, 왜 수많은 노동자들은 해고를 당해야만 하는 것일까? 자본주의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면 중요한 단계마다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토지와 직장을 잃고 희생양이 되어왔다. - P187

맹목적 성장보다는 분배와 균형이 갖춰진 성장, 그리고 무조건적인 출산 상려가 아닌, 우리나라의 자연환경과 경제적·사회적·정치적 상황에 적합한 적정 인구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 한다. - P219

이 책은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에 대한. 사소한 질문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정말 문제일까?‘, ‘문제라면 누구에게 문제일까?‘. ‘좋은 점은 없을까?‘하는 질문들입니다. - P2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