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꿀 일곱 가지 실험들 - 열린 과학을 위한 새로운 제안
루퍼트 셸드레이크 지음, 박준원 옮김 / 양문 / 1999년 11월
평점 :
절판


인간을 관찰하지 않고도 인간이 지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방법. 사실 인간을 관찰하는 데는 너무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며 엄청난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 만약 인간 대신 우리가 키우는 강아지나 고양이, 비둘기를 관찰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면...? 우주의 어딘가에 나, 너, 나무, 책, 축구공, 카메라, 벌, 십자가, 달력 등등을 그대로 복제할 수 있는 널다란 운동장[Morphic field=形態場]이 있다는 가설로 신선한 충격을 던졌던 캠브리지 출신 과학자의, 세상을 아주 간단하게 바꾸어버릴 수 있는 새롭고 신비로운 실험 모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
칼 세이건 지음, 이상헌 옮김 / 김영사 / 200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칼 사강(혹은 세이건), 당신 정체가 뭐요? 세티(SETI)의 그 누구보다 든든한 백그라운드였던 당신의 유작에 어찌 회의론(skepticism) 냄새가? 마운틴 뷰에 있는 지적외계생명체 탐색연구소인 SETI 연구소 프랭크 드레이크 (Frank Drake) 소장이  "칼 사강은 외계 생명체 탐색이 인간의 생존 환경과 많은 관계가 있다고 지적했었다. 그는, 인간이 우주에 유일한 지적 존재라면 지구에 사는 생명체는 더욱 소중하며 따라서 지구는 보호되고 보살핌을 받아야 하며, 만약 인간이 우주에서 유일한 지적 생명체가 아니라면 인간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엄청난 양의 지식을 다른 지적 생명체에서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었다. 바로 이 때문에 칼 사강 연구소가 다른 연구소보다 중요하다''고 했던 말이 아직 귀에 생생한데 말이지...음...두 명의 윌리엄(윌리엄 제임스, 윌리엄 블레이크)도 죽었고, 이제 당신마저 여기에 없으니, 당신이 붙여놓은 신비와 회의의 싸움을 누가 뜯어말릴 수 있을지...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수는 없다 - 기독교 뒤집어 읽기
오강남 지음 / 현암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에는 두 가지 종류의  '예수를 믿는 이'가 있다. 하나는 예수를 제외하고는 다른 어떤 것도 믿음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 자이고, 다른 하나는 예수를 믿는다는 것은 권력을 믿거나 자기를 믿거나 텔레비전을 믿거나 땅을 믿거나 아무 것도 믿지 않거나와 전혀 다르지 않게 바라보는 자이다. 희한하게도 전자에게 '예수는 없다'. 가령, 며칠 전 서울 시청 앞에서 목청을 높이던 C목사 같은 사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암벽의 사상
하창수 지음 / 신생(전망) / 2000년 2월
평점 :
품절


소설가 하창수와 동명이인인 문학평론가 하창수의 두번째 소설평론집. 애석하게도 소설가 하창수의 소설에 관한 비평은 없음. 문학평론 지망생에게 '강추'하고픈, 소설비평의 전범과 같은 책!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담유 2004-10-20 1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행기까지...? 하면서 클릭했다가, 아니 평론을....? 하며 두 번 놀랬다가, 저자가 동명이인이란 걸 알고는 또 한 번 놀랜, 도합 세 번 놀라게 한 책입죠. 아직 읽어보지는 못했어요. ㅎㅎ

책먹는하마 2004-10-21 21: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결국, 두 번의 실망과 한 번의 실소...?
 
살아있는 에너지 - 신과학총서 2
콜럼 코츠 지음, 유상구 옮김 / 양문 / 1998년 7월
평점 :
품절


구불구불한 강줄기를 똑바로 펴지마, 강기슭의 갈대밭을 갈아엎고 시멘트로 강둑을 쌓는 따위의 짓은 제발 하지마 - 연구를 계속하기 위해 나치로부터 연구자금을 받았다가 전후 업적을 인정받지 못했던, 오스트리아의 불우한 과학자 빅터 샤우버거의 '숲과 물'에 관한 과학적 성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