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애하는 알라디너 분들의 서재에서 보이기에 탐내고 있던 차에 도서관에서 발견하곤 <워드슬럿>을 냉큼 빌려왔다. 0장과 1장을 다 읽었고 2장으로 넘어간 상태다. 여성용 단어가 격하를 거친 사례를 읽는 건 매우 괴롭고 분통이 터지지만 흥미롭기도 하다.
이 책의 제목인 슬럿slut만 해도 '칠칠맞은'이라는 형용사로 남성까지도 수식하던 단어였으나 성적으로 '헤픈'이라는 의미로 성판매자를 칭하다가 1990년대에 포르노에서 많이 쓰이면서 젠더화된 모욕으로 격하되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이런 단어에 대처하는 방법은 아마도 사용을 피하는 것일 테다. 이 책에 등장하는 예시 중 '노처녀'와 같이 개념 자체가 시대에 낡아버려 해당 단어를 사용하는 게 우스워진다면 가장 좋을 것이다. 그러나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사라지게 만들려는 목적이 없더라도 발화하는 것만으로 기존 권력과 체제를 강화하는 단어를 그저 말하고 싶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이 책은 다른 길을 제시한다. 단어의 의미를 긍정적으로 재정의해서 단어를 탈취해오라고 한다. 모욕을 위해 사용되던 단어의 의미를 완전히 바꿔서 애정을 담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재전유하라는 것이다. 저자가 제목으로 사용한 '워드슬럿wordslut' 역시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다. 언어에 죽고 못사는 사람, 단어 덕후라는 뜻으로 단어를 탈환해온 것이다.
미드 <보스턴 리걸>에는 다음과 같은 대사가 나온다.
Brad Chase: I outrank you.
Alan Shore: And I'm such a slut for authority.
내가 너보다 직급이 높으니 따르라는 말에 알았다는 대답을 이런 식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도 'slut'이 권력이라면 껌뻑 죽는다는 의미로 재전유되었다.
(65) 이는 모든 단어에 정치적 올바름이라는 이유로 혹은 사람을 공격할 수 있다는 두려움에 사용 중지를 선언하는 문제가 아니다. 사실은 그 반대다. 이는 규칙에 대한 저항이다. '슬럿' 혹은 '푸시'와 같은 단어를 악의적으로 사용하지 않겠다고 거절함으로써, 우리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남성우월주의를 위해 만들어진 불균형한 기준을 거부하는 셈이다.
내가 남몰래 무척 애정하는 이라영 작가는 <말을 부수는 말>에서 권력의 언어는 쉽게 발언권을 얻고 널리 들리지만 저항의 언어는 말하는 데만도 어마어마한 위험이 수반되며 설사 발언권을 얻는다 해도 쉬이 묻힌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라영 작가가 꼽은 저항의 언어 중 '퀴어'가 있다. 어맨다 몬텔 역시 '퀴어'를 재전유되고 있는 과정에 있는 단어로 꼽았다. 재전유 과정에서 부정적인 의미가 단번에 사라지지는 않는다. "(58) 의미론적인 변화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오히려 한 의미가 천천히 다른 한 의미를 덮어 기존의 의미가 지평선 아래로 지는 점진적인 과정에 가깝다. 단어의 긍정적인 변주가 점점 더 흔해지고 점점 더 주류를 차지할수록, 다음 세대가 말을 배우기 시작할 때 이러한 의미를 먼저 집어들게 된다."
나는 이런 접근방식이 우리에게 유용할 것이라 생각한다. 대다수는 들어보지도 못했거나 들어봤다 하더라도 남성을 비하하는 의미로 사용된다고 여기지 않는 단어를 남성 혐오로 규정하고 이를 지렛대 삼아 여성 혐오를 조장하는 움직임이 자주 목격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오조오억개' 같은 단어. 그들은 해당 단어에 애초 함의된 바 없던 남성 혐오라는 허구를 만들어내 이를 권력으로 여성 혐오를 정당화한다. 이때 이 단어를 말하지 않는 것은 오히려 그들에게 힘을 실어줄 뿐이다. 그들의 의도가 입막음이라면 우리는 스스로를 검열함으로써 그걸 도와주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더 나은 대응은 단어를 되찾아와서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함으로써 공격의 빌미를 없애버리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