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백 - 제16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장강명 지음 / 한겨레출판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솔직히 말해서 나도 모르게 세연의 주장에 동조했다는 점은 인정한다. 그것이 6개월째 지속되고 있는 우울증 때문이라 할지라도, 꽉 짜인 세상에 내가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는 것 같은 좌절을 경험하고 있기에 그 주장에 혹했다는 것은 사실이다.

 

  동시에 최근에 읽은 「닥치고 정치」가 생각났다.

  노력만으론 개인이 극복할 수 없는 사회구조 같은 건 보이지도 않아. (중략) 그러니까 니들은 니들이 못나서 그런 거라는 말이지. 성공한 우의 전형적인 사고 패턴이야. 모든 문제를 개인의 무능으로 환원시켜, 자신들에게 유리하도록 장악한 시스템 자체에 대해선 시비를 못 걸게 만드는 거지.  - 「닥치고 정치」37쪽

  특히 인상적이었던 김어준 식 좌파 우파 설명 중, '노력만으론 개인이 극복할 수 없는 사회구조'가 이 소설에서 전제로 한 '완전한 세계'와 유사하다고 느꼈다. 부에 대한 욕심이 크지 않더라도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돈을 버는 경쟁에 뛰어들어야 하고, 그 경쟁에 실패했을 때는 나의 무가치함과 무능을 탓해야 하는 사회. 어쩌면 나는 이런 사회구조에서 현재진행형으로 우울과 좌절을 경험하는 중이기에 더 혹했던 것은 아닐까.

 

  김어준의 사회구조와 「표백」의 완전한 세계는 차이가 있다. 김어준의 사회구조는 우파가 만들어낸 것이고 표백의 완전한 세계는 기성세대가 만들어낸 것이라는 점이다. 더불어 작가는 성공한 젊은이의 자살을 통해서만 변화를 얻을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좌파와 우파는 온수와 냉수일 뿐이니 아무 의미도 없다고도 이야기한다. 하지만 그렇게 이야기하는 작가가 '동아일보'의 기자라는 사실은 확실히 코웃음칠 빌미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놈이나 저놈이나 똑같다고 생각하고 투표 따위 하지 않길 바라는 것은 우리나라 현실의 부패한 보수 정권에서 바라는 바 아니던가. 죽기까지 해야만 변화할 수 있는 세계, 그나마도 소설 속에서 증가하는 자살 선언들은 사회 변화와는 거리가 멀어진다.

 

  이 소설에서 찾을 수 있는 단 한 가지 희망(?)이라면, 이것이 말 그대로 허구의 이야기, '소설'이라는 것이다. 작가는 변화가 가능하다고 여긴다 해도, 재미를 위하여 그 변화의 계기로 자살이라는 극단의 방법을 차용했을 가능성이다. 또한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사이트가 그 논리에 대한 반박이나 비판을 거부하고 고립되며 점차사이비종교처럼 변화하려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은 소설다운 마무리일 수 있다.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면, 정말 작가가 '너희가 죽음으로 이야기해도 변하지 않는 세상'이라고 생각한다면, 이 작가의 가치관이며 관념들은 얼마나 절망적인가. 자신이 이뤄낸 것을 직접 목격하지 못하는 것은 불행이라고 여기기 때문에, 나는 죽음이 아니라 살아서 이룰 수 있는 변화가 가능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