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특히 범죄와 관련한 심리학 이론 중에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착한 사람에게는 좋은 일이 생기고 나쁜 사람에게는 나쁜 일이 생긴다는, 일종의 권선징악에 대한 믿음입니다. 이는 역으로 보면 나쁜 일이 생긴 사람은 나쁜 사람이기 때문이라는 논리가 성립하기 때문에 범죄의 피해자가 되려 비난을 받는 어이없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한 피해자의 상당수가 '왜 하필 내가 피해자가 되었는가'라는 의문을 갖는다는 것에 수긍할 수 있는 논리도 제공합니다.
하지만, 조금 겪어보니 나쁜 일은 나쁜 일을 당할만한 사람에게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더군요.
아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우리나라에는 광역시 및 도마다 원스탑센터라는 것이 있습니다. 아동성폭력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성폭력을 조사하는 데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높아지자 조사,진료,진술녹화 등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지역 내 병원과 연계하여 만든 센터인데 보통 병원의 응급실 내에 있으며 24시간 여경분이 대기합니다.
아동성폭력과 관련하여 해바라기아동센터라는 곳도 있으나 경찰이 동석하지 않은 조사는 인정받지 못하기 때문에 상담보다 신고/처벌을 희망하는 경우는 원스탑센터로 오시는 것이 좋습니다.
작년부터 이 원스탑센터에 아동의 진술을 분석하는 진술분석 전문가 참여제가 도입되었습니다.
작년 1년간 서울, 인천 및 경기지역의 다섯 군데에서 시범실시했던 참여제는 올해 3월부터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실시하고 있습니다. 대강 설명하자면 이는 요일마다 한 명씩 배치를 받아 대기하고 있다가 아동이나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피해자가 원스탑센터에 조사를 받으러 오면 동석하였다가 추후 피해자의 진술에 대한 신빙성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어쩌다보니 맨손으로 올해부터 전국 규모의 확장과 함께 진술분석 전문가 양성 및 배치, 운영의 간사를 맡은 저도 올해부터 학교와 자취방 근처의 센터에 배치를 받아 화요일에 대기하고 있습니다.
보통은 전날 미리 연락을 받는데 오늘, 아니 이제 어제는 오후 여섯 시가 다 된 시각에 연락이 왔습니다. 피해아동이 보호자와 담임선생님과 함께 센터에 와 있다고 하여 부랴부랴 갔습니다. 아직 능숙치 않기 때문에 마음의 준비가 필요한데 그럴 시간도 없이 가버렸습니다. 아직 저희에게는 질문권한이 없기 때문에 경찰분이 조사하시지만 창피해하는 아이에게서 억지로 사건에 대해 알아내려고 하자니 미안했습니다. 한 시간의 진술녹화 후 보호자, 담임선생님과 간단한 면담을 했습니다. 마칠 때쯤 떠오르는 생각은 내일이 어린이날이라는 것이더군요. "내일이 어린이날인데.."라는 말에 착잡함을 감추지 못하시는 모습이었습니다.
범죄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지만, 절대 그 누구에 포함되지 말아야 할 대상이 어린이라는 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겁니다. 이제 날짜가 바뀌어 어린이날인데, 그 전날 아침 그런 끔찍한 경험을 한 아이가 오늘 즐거울 수 있을까요. 365일 매일은 아니어도 적어도 어린이날만큼은 어린이가 행복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한 시간 진술녹화를 가지고 네 시간 반 넘게 녹취록을 쓰고 새벽 두 시에 들어와서 속상한 마음과 괜한 밤기운에 울컥해서 한 번 적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