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마 잭의 고백>을 읽고 일본에선 뇌사일 경우 산 사람으로 보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다는데 조금 놀랐어요. 우리나란
어떤지.. 아마 같은 동양권 문화라 비슷하지 않나 싶은데요. 서양은 사고와 감정의 중추인 뇌가 죽으면 죽은 사람이라고 받아들이는데
별 거부감이 없지만, 일본에선 뇌가 죽어도 심장이 뛰고 피가 흐르니 산 사람이고 심장이 죽어야(심폐사) 비로소 죽음으로 본다고 합니다.
그러니 장기 이식을 위해 뇌사자의 몸을 열고 장기들을 꺼내는 건 말 그대로 산 사람의 몸을 해체하는 거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네요.
신체발부
수지부모라고 하던가요. 부모에게 받은 몸을 소중하게 여기고 손상시키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 역시 몸을 중요하게 여기는 생각을
반영한 거겠죠. 그러고 보면 서양에서 가장 끔찍한 병은 몸은 멀쩡해도 기억을 잃어버리고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어버리는
알츠하이머이고, 동양에서 가장 끔찍한 병은 육체가 죽어버리는(엄밀히 말해 죽는 건 아니지만 움직이지 못하니 쓸모가 없어져 버리는)
사지마비가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제가 읽은 책 중 장기 이식을 다룬 서양의 추리소설이 넬레
노이하우스의 <산 자와 죽은 자>인데요. 거기서 문제가 되었던 것은 뇌사자의 뇌가 정말로 죽었는가.. 였어요. 뇌사를
판정하는 여러가지 기준이 있는데 기본적인 것 말고 아주 테크닉한 것까지(뭐였는지 기억이 안 나네요)는 잘 안 한다는 거죠. 이식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고, 양질의 장기를 채취하기 위해서라도 뇌사 이후 서둘러야 하고, 장기를 기증하기로 결심한 가족들이 결정을
번복할 가능성 등등... 또 테스트를 할수록 돈이 들고 시간도 걸리고요. 그래서 여러가지 기본 반응으로 뇌사 판정을 받았어도 만에 하나 죽은 뇌처럼 보이지만 살았을 경우, 산 사람을 죽이고 장기를 꺼내는 것이며 그 고통을 고스란히 느낀다는 거죠. (아마도 뇌사라고 오판할 가능성을 말하는 걸 겁니다. 뇌사판정을 받으면 몸도 죽어가기 때문에 서둘러야 하는 걸로 알아요)
그래서 소설을 다 읽고 남편에게 그랬죠. 장기를 기증하겠다고 서명했으니 만약 뇌사 판정을 받게 되면 저 검사까지 꼭 해달라고 하라고, 그리고 장기 꺼낼 때 꼭 마취해달라고 ㅎㅎ
------------------------------------
장기 이식과 관련해서 뇌사 판정 문제, 장기의 공정한 배분, 투명한 수혜자 선정 과정 등 기증과 장기 이식 절차 관련 문제들만 생각해 봤는데, <살인마 잭의 고백>을 읽고 기증 받은 사람들이 감당해야 하는 무게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일본 사람들 특유의 결연함이라고 해야 하나 그런 훈계, 가르침 섞인 말들이 다소 오글거리거나 거부감을 줄 수도 있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