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 ㅣ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책장을 재빨리 넘기다가, 십 년 전, 친구네 하숙방에서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는 김영하의 첫 장편소설을 읽던 기억이 어렴풋이 떠올랐다.그 때 내 심기에 그토록 거슬렸던 한 가지 사실도. 주인공의 이름이 미미가 뭐냐! 그러나 이 책은 생각보다 훨씬 잘 읽혔다. 잘 읽었다. 십 년 전의 실망은 없었다.
십 년 전이면 한창 오렌지족이라는 말이 유행할 때였다. 그 때만 해도 김영하 역시 젊디 젊은 작가였다. 그래서 지금도 나는 무의식적으로 그를 오렌지족 작가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실은 그의 정체성은 어쩌면 양아치 쪽에 가까웠던 걸까?
"죽어라고 학교 다녀봐야 대학 갈 팔자도 아니고, 국으로 있는 놈만 병신이다. 선생들은 패지, 애들은 쪼지, 주먹으로 못 잡을 바에야 뜨는 게 장땡이다. 대학 못 샀다고 어이고 불쌍한 내 새끼 하면서 카페 차려줄 재산이 있기를 하나, 그저 밖에서 구르는 게 집도 좋고 지도 좋은 거지. 부모들만 애들이 돌빡인 줄 안다. 우리도 눈치로 다 때려잡는다. 다 지 갈 곳을 알고 그쪽으로 흘러가면서 구겨지는 거다." ("비상구", 167-168)
이건 안목 있는 시대 통찰도 아니고, 삶과 사회에 대한 심오한 깨달음도 아닌, 동네 양아치, 삐끼, 날라리들의 평균적 상황인식에 불과하다.
"너무 늦었다. ... 앞만 보고 달렸다. 발 밑으로 기왓장 부서지는 소리들이 들려왔다. 두두두둑. ... 왜 이렇게 죽어라고 쫓아와? ... 다행히 타넘을 지붕은 얼마든지 있었다. 니미 씨팔이다." ("비상구", 187)
이걸 멋지다거나 깊이 있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사실이 아닌 것도 아니다.
오히려 보다 정확히 말해서, 이건 현실에 아주 유연하게 밀착된 사실이다.
너와 내가 다 아는 사실, 너와 내겐 책임이 없는 사실, 너와 내가 어떻게 해볼 수 없는 사실.
그래서?
우리는 "하!", 하고 오 분간 입을 벌리고 감탄한다.
나는 오늘 도서관 서가 앞에 서서 황석영의 <오래된 정원>이나 <무기의 그늘>을 들고 갈팡질팡하다가 결국 김영하의 이 소설집 한 권만을 빼들고 나왔다. 황석영을 읽으려면 왠지 마음의 준비를 하고 책장을 넘기기 전에 심호흡을 해야 할 것만 같았던 것이다. 김영하의 소설엔 그런 부담이 없다. 그의 소설은 술 마시고 밤중에 들어와서 잠들기 전에 혼자 보는 심야의 티비 단막극 같고, 삐까뻔쩍해서 밤에 들어서면 눈이 시리는 LG24에서 사 피우는 처음 보는 상표의 외제담배 같다. 적당히 흥미진진하고 적당히 통속적인, 바로 그래서 중독적인 단막극, 한 번 피우고 나면 그걸로 끝인 담배 한 대의 찰나적 위안.
티비 단막극은 티비 단막극일 따름이고, 담배 한 대는 담배 한 대일 뿐이다. 그러나 우리는 매일 밤 티비를 들여다보다 잠이 들고, 담배연기를 뿜어올리며 하루를 보낸다. 그런 의미에서 김영하는 우리 대중을 위안하는 소설가다. 그의 소설은 저 위 별표들의 이름처럼 "상품만족도"가 높다.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 우리는 걱정한다. 하지만 버스와 트럭이 부닥치는 와중에, 전화카드가 없어서, 보고를 독촉하는 상관 때문에, 자칫 생명을 위협당하고 있을지도 모를 타인에 대한 관심 같은 건 지키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심지어 그 사람의 발이 엘리베이터 문 사이로 대롱대롱 끼여서 시야를 가득 채울지라도! 정말이지 그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특히 집에 온수가 끊어지기라도 한다면야 더더욱! 그건 정말 어려운 일이다. 자, 이제 편한 잠옷으로 갈아 입고 리모컨으로 티비를 켤 차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