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집에서 <오버 더 레인보우>를 보고 있으니 한 가지 의문이 들었다. 왜 그 영화 속 사진 동아리는 그렇게 다른 동아리들과 조금도 달라보이지 않는지. 대학 시절에 나는 학보지의 기자 노릇을 잠시 했었는데 그 때 사진부를 가겠다고 우겨서 사진부 생활을 했다. 부서 선배들이 전부 사진 동아리에 속해 있길래 전통계승 차원에서 얼결에 거기에도 가입을 했다. 그런데 사진동아리는 다른 동아리들과는 수준이 달랐다. 사진 동아리에서 활동을 하려면 자기 사진기가 하나 있어야 하고 그 사진기는 렌즈가 손톱 두 개 만한 자동 사진기가 아니라 여러가지 조작이 전부 수동으로 가능하고 렌즈 탈부착이 가능한 그러니까 니콘 FM2 같은 그런 종류의 사진기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종류의 사진기 당시 가격은 3-40만원이 거뜬히 넘어갔다. 망원렌즈 하나 사고 스트로보 붙이면 필요한 지출범위는 한없이 넓어지고...

운좋은 나는 신문사 소유의 카메라를 들고 다니면서 얼치기 멤버 노릇을 좀 하다가 말았다. 사진 동아리 노릇을 하려면 필름이며 인화액, 정착액, 인화지 사는 데 돈이 은근히 들어가는데 아무래도 그걸 다 대기가 좀 힘들었던 데다가 가정형편이 나와는 다른 아이들이 많아서 왠지 거리감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안 그랬다면 사진을 좀더 많이 찍었을 텐데. 이러저러 해서 나의 사진 동아리 생활은 별 일없이 한 학기 쯤 후에 막을 내렸다.

두 해 전쯤 남편이 큰 돈을 투자해서 캐논 디지털 카메라를 샀는데 영 장난감 같고 좀처럼 맘에 들지 않았다. 몇 달 전에 그 카메라가 부서졌다. 새로 사야 하나 하면서 인터넷으로 조사를 좀 해보니까 그 새 기술이 발전하야, 내가 예전에 쓰던 종류의 그런 카메라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며 렌즈의 탈부착도 가능한 그런 디지탈 카메라도 있는 것이었다. 수동조작의 범위가 물론 내가 원하는 정도까지는 되지 않았지만 셔터 누르는 시점과 사진이 찍히는 시점 사이의 시간차가 없고 조작의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점이 무엇보다 맘에 들었다. 불행히도 비싸서 당장은 살 수 없는 가격이었다.

영화 속의 사랑 타령은 별로 와닿지 않았으나 옛 카메라 생각이 많이 났고 오래전에 찍은 흑백필름들이 그리워졌다. 

기술이 더 빨리 더 빨리 발전해서 빨리 DSLR 카메라 가격이 팍팍 내렸으면 좋겠다.
도움이 된다면야 카메라 회사 연구소에 가서 인턴 노릇이라도 해주고 싶다.
그렇게 해서 가격이 내린다면은
.
왜 사진기는 그렇게 꼭 비싸야만 하는 것일까.
생각해보면 오디오도 그렇고.
꼭 돈을 들여야만 즐길 수 있는 종류의 취미가 있다.

아니면 열성이 부족해서 괜히 더 돈 들이기가 아깝다는 생각이 드는 걸까.
[먹는 데는 눈 딱 감고 지출도 잘 하면서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