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촐라체
박범신 지음 / 푸른숲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 전, 이제 막 중학생이 된 아이가 제법 심각한 얼굴로 물었다.
엄마, 엄마는 내가 뭐가 되었음 좋겠어요?
글쎄? 네가 특별히 어떤 직업을 갖기를 바래본 적은 아직 없는 것 같은데? 네가 되고싶은 거, 네가 신나게 할 수 있는 거. (그게 돈도 좀 되면 좋겠고... 이건 속엣말)
오늘 학교에서 심리검사를 했는데요, 산을 그려보래요. 그래서 저는 좀 튀어보려고 화산을 그렸거든요? 봉우리 부분이 약간 패여 있는 걸루요.
그런데?
그런데 산 봉우리 갯수가 자기가 되고싶어하는 것 갯수래요. 어떤 애는 수십 개를 그린 애도 있고, 어떤 애는 두세 개, 어떤 애는 딱 한 개. 그런데 저만 봉우리가 없어요. 엄마는 왜 나한테 의사가 되라, 뭐가 되라... 그런 얘기 안해요?
피만 보면 질겁을 하면서 네가 의사 되란다고 될래? 어쨌거나 잘 찾아봐라. 미리 정해두고 그 길로 쭉 가도 좋겠지만, 이것 저것 잘 둘러보고 가도 되지 뭘. 잘 찾아보면 네가 하고싶은 일이 있겠지 뭐.
가볍게 얘긴 했지만, 가슴 한켠이 괜히 허전해지기도 하고, 철렁 해지기도 했다. 이건 또 무슨 심리인가.
돌이켜보면, 내내 나는 꿈이 없었다. 뭐든 시켜만 주면 잘해낼 것 같긴 한데, 뭔가를 위해 올인해 본 기억이 없다. 강렬하게 나를 끌어당길 일을 못 만난 게야... 라고 지금껏 생각해왔는데, 그게 아니라 나는 실패와 좌절을 두려워했던 거였다. 무슨 일을 하기도 전에, 그 일을 해내지 못할 것이 두려워서 늘 비겁하게 피해왔다. 그걸 인정한 게 작년이었다. 마흔을 한 걸음 앞뒀던 해에.
이 책, 촐라체를 읽으면서 내내 머리를 쥐어짰다. 나의 촐라체는 뭔가. 도대체 뭐란 말인가.
상민과 영교가 목숨을 걸고 올랐던 그 촐라체가... 도대체 나에겐 뭐란 말인가. 도대체 이들은 왜 그리 기를 쓰고, 누구나 불가능하다고 여기는 그곳을 오르는가. K2나 클리프행어를 보면서도 나는 늘 그것이 의문이었다. 도대체 저게 뭐라고, 저들은 저렇게 기를 쓰고 오르는가 말이다.
영교가 크레바스로 떨어졌을 때, 목숨을 걸고도 로프를 자르지 않았던 상민. 도대체 내 목숨을 걸고 지켜야 하는 그 로프는 나에겐 뭘까.
인터넷으로, 도도하고 차가운 빙벽 촐라체를 찾아보면서, 나는 내 뜨거운 열정이 뭔가, 그 열정이라는 것이 나한테 존재는 했었던 것일까 생각한다. 올해는 아이들과 함께 내 안의 촐라체를 찾아보는 길을 나서볼까. 그러다... 바람이 나서 훨훨 날아가버리면 어떡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