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1 (반양장)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완결이 아니잖아! 정중하게 환불 신청하겠습니다. 완결 나오면 볼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피행
시노다 세츠코 지음, 김성은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도피행’의 주인공 타에코, 그녀는 가정주부이자 한 남자의 아내, 그리고 두 딸의 엄마로 살아가고 있다. 그녀는 외롭다. 무뚝뚝하고 일을 중요시하는 남편은 그녀에게 무관심하다. 무관심함을 넘어서 무시하기도 한다. 딸들도 그녀가 무슨 말만 하면 갱년기장애를 운운한다.그녀의 유일한 벗은 애완견 ‘포포’다. 그 마음 이해된다.

포포가 옆집 아이를 죽인다. 마을이 난리나고 세상이 난리났다. 언론까지 나서서 개를 죽이라고 하는데 그녀는 여기서 도피를 선택한다. 평범한 주부의 내면에 있던 분노가 폭발하고 마는데...

참 일본소설답다는 느낌이 드는 책. 과장스러운 뭐 그런 느낌?

그래도 평범한 주부의 마음을 냉정하게 담았다는 점이 좋다. 리얼리티가 약하기는 하지만 유일하게 정을 나누는 개를 데리고 도망치는 그녀의 마음이 잘 느껴졌다. 그럭저럭 볼 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룡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
최규석 지음 / 길찾기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 이야기만 듣다가 이제야 봤다.
추천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뭔가 하는 궁금증에 받자마자 읽었는데.. 명불허전이구나!

슬프면서도 웃기다. 불편하면서도 감동적이고 조금은 찡하기도 하다.
그림보다 '이런 내용'에 정말 놀랐다. 놀랐고 감탄했다.

이렇게 완벽한 오마주는 다시 보기 어려울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고일 1 - 불멸의 사랑
앤드루 데이비드슨 지음, 이옥진 옮김 / 민음사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잘 나가던 포르노 배우가 술과 약에 취해 운전을 한다. 그는 음주운전자들이 생각하듯 자신은 괜찮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사고가 발생하고 결과는 전신화상...

목숨을 구한 것만으로도 감사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남자는 괴롭지. 이제는 괴물이 된 자신에게 희망이라는 것은 없으니까.

그 남자에게 여자가 나타난다. 병원에 있던 그녀, 정신병에 걸렸다고 하는데 그녀는 매혹적인 아름다움을 갖고 있다. 여자는 남자에게 적극적인 관심을 보인다. 찾아와서 700년 전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들려준다. 정신병에 빠졌다고 하지만, 뭔가 신비스러운 이야기다.

현실을 넘나드는 사랑 이야기 ‘가고일’. 현실의 사랑은 진부했고 그것을 깨지 못해서 재미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700년 전의 고풍스러운 러브 스토리와 간간히 등장하는 짧은 사랑 이야기는 재밌다. 정말 재밌다. 현실의 것도 잘 다듬었으면 좋았을 텐데..

불멸의 사랑을 그리는 데는 실패했지만 그래도 사랑을 감각적으로 그리는 데는 성공한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여자의 침대
박현욱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제부터였는지는 모르겠지만 돌아보니 나는 박현욱의 팬이 돼있다. 그의 소설 모두를 읽었다. 재밌게 봤다. ‘동정 없는 세상’, ‘새는’, ‘아내가 결혼했다’ 모두 마음에 드는 소설이다.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나는 그가 왜 소설집을 내지 않는지 궁금했고 또한 나오기를 기다렸다. 박현욱이라면 단편소설이 뭔가 다를 것이라는 기대감 같은 것이 있어서 그랬던 것 같다.

드디어 나왔다는 말을 들었고 얼마 후 그의 소설을 탐독했다. 후후후, 과연, 과연 박현욱이야. 달라. 똑같지 않아. 그만의 방식이 있어.

이 소설집은 딱히 어떤 말로 규정하기 어렵다. 인간들이 치고 박고 하면서 싸우고 지지고 볶으면서도 잘 살아보겠다고 웅얼거리는 모습이 인상적이면서도 재밌다. 박현욱 스타일스러운 그 묘사법에서 펼쳐지는 군중의 사는 모습을 보는 건 확실히 재밌다. 연애담을 기본 바탕으로 삼고 있지만 그 이상의 어떤 관계에 대한 고찰이 있는 것도 마음에 들기도 하고.

어찌하였든, 나는 알았다. 박현욱의 글은 정말 재밌다. 당연한 건가?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어쨌든 나는 만족스럽다. 과연, 과연 박현욱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