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나무' 아래서
오에 겐자부로 지음, 송현아 옮김, 오에 유카리 그림 / 까치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이 온세상에 호기심으로 가득차 보이고 배울것과 볼것이 많은 이들에게 적합한 책이라는 점과 작가가 살아온 삶의 궤적을 추스려 이정도만 성장과정때 배려해 주고 격려해 준다면! 아주 좋겠다라고 공감하는 것 외에 책에서 파생된 느낌을 되짚어 보았다.

그건 간단히 말하면 <삶을 살아내는 방식>이고 자극이다.

아..이 작가는 자신이 보고 겪은 것들을 이렇게 보고 생각을 키워왔구나.  살아가면서 어려움이나 공부하는 방법을 이렇게 이겨내고 발견했구나. 올바름에 대해 탐색하는 자신만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그럼 나는 내 주변에 것들은 무엇이 있고 나는 이렇게 살아가고 있구나>하는 자각의 자극을 주는 것이다. 더불어 나는 어떻게 해볼까?하는 의지도.

기실..작가의 충고와 방법은 귀담을 만 하지만 이책에서  느끼는 것은 자신의 이야기를  노스롭 프라이의 <거대한 체계>를 예를 들듯..내 삶과 주변의 것들을 새로 만들고 그것을 풀어내는 자극과 억압을 걷어내는 따스한 격려가 책 곳곳에 그리고 책의 중심에 버티고 있다는 것일 것이다.

백석의 <촌에서 온 아이>라는 시 끝부분에

촌에서 와서 오늘 아침 무엇이 분해서 우는 아이여

너는 분명히 하늘이 사랑하는 시인이나 농사꾼이 될 것이로다.

라는 구절이 있다...오에 겐자부로도 자신이 고스란히 겪은 삶의 질곡에서 간곡히 발산하는 격려를 백석의 시속 촌에서 온아이같은 이들에게 자근자근 이야기 하는 내용과 함께 그렇게 하는 행위까지 보여주는 것 같아 이것이 책 중심에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이 비웃고 잊어버린 용기, 배움, 배려, 격려가 무엇인지 자신만의 이야기를 들려 주면서...말이다.

<책을 읽는 나무의 집>부분에서 내 자신만의 이야기를 작가의 이야기를 통해 생각을 한 것이 있다.

유연하게 대처함이 그저 나부끼는 의미가 아니라 곧게 홀로선 느낌을 포함한 것이라..여러 설명을 하지만 나에게는 유연함이 기다림이고 또다시 바라봄이고 자신의 사고의 결론을 일부분 비우는 것이라 책을 읽으며 생각을 했었다... 그리고 책을 읽고나서 이것이 작가가 옆에서 격려해서 이런 내 생각을 자연스레 한 것이 아닐까 생각했었다.  그리고 어린 소년시절에 기억과 그때의 발랄한 느낌이 하나씩 긍정하면서 바라보고 기억되기 시작했다.

그건.. 아모스 오즈의 <나의 미카엘>나온

<어렸을때는 내게 사랑하는 힘이 넘쳤지만...>의 풍경속에서 작가의 소설작품<조용한 생활>의 이요가 외친 <저는 쭉 낙관하고 있습니다!>라는 목소리도 들리는 듯 감회에 빠졌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