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도 퇴를레스의 혼란
로베르트 무질 지음, 박종대 옮김 / 울력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역시 내면의 흐름을 심도있게 파고드는 글은 인기가 없고 지루하다.  무질은 자신의 스타일에 대해 혹시 저주를 하지 않았을까.. 망명생활과 생활고에 다그치면서도 <특성없는 남자>를 미완으로 남겼으니..

일종의 편견임인데 독일소설작가중 이름좀 알려진 작가들은 예외없이 <성장소설류>의 작품을 하나씩 쓰는 것 같다. 헤세도 그렇고 토마스만의 <토니오 크뢰거>도 그렇고 이 책도 그렇고. 물론 <생도 퇴를레스의 혼란>이 성장소설이 아님은 작가가 공공연하게 말했으니 접어두기로 하고...

아무래도 무질이 군사학교를 다녔으니 자전적 요소가 강하게 베어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무질의 문학관을 살펴보면 이 책이 성장소설이나, 당시 문제있는 교육기관을 고발하는 소설이 아님은 명백해 진다. 더구다나 무질 스스로도 체험소설이니 성장소설이란 말을 듣고 <모욕감>을 느끼기도 했다고 한다.

소설에서 비중있게 나오는 인물은 역시 퇴를레스, 바이네베르크, 라이팅과 바시니 정도이다. 공간도 한정되어 있다. 사관학교안에서 일어나는 일이 대부분이고 더군다나 다락방이 집중적으로 부각된다. 이야기의 구조는 단순하고 수평적이다.  무질은 이야기로써의 소설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들었다.

라이팅은 현실적 관계에서 권력을 탐하고 행사하려는 인물이고 바이네베르크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신비적 심령술을 행하고 싶어하는 인물이다. 의지가 박약하고 점점 궁지로 몰리는 바시니, 그리고 끝없이 무엇을 사색하는 퇴를레스가 소설의 구조로 기능한다.

퇴를레스는 라이팅이나 바이네베르크와 어울리지만 자신이 점점 원하는 것이 그들에게서 찾을수 없음을 알아간다. 그것은 수학에서 나오는 허수의 개념으로 제시된다. 완벽하게 체계를 이루고 명확한 진리로 받아들이는 수학에서 <무한>과 <허수>는 모순되고 명확히 제시될수 없는 것임을 직감한 퇴를레스는 <오감>이나 <명백한 진리> 로 말해지는 것 이외것이 삶에서 있다는 것을 어렴풋이 알아간다. 수학교사에게 가르침을 받고자 하지만 수학교사는 퇴를레스에게 만족할 답을 주지 못한다.

바시니가 점점 심한 폭력에 노출되어 가는 과정은 퇴를레스에게 라이팅의 현실적 지배세계, 힘의 세계와 바이네베르크의 신비적 사상에 대해 밑천이 없으며 기대할 것이 없는 것을 밝혀준다.

바시니의 일이 폭로되었을때 퇴를레스는 교사들 앞에서 약간 넋이 나간 사람처럼 자신의 이런 생각 즉 수학적 원리로 표현되는 이성적이거나 오성적, 진리적 세계와 또 다른것이 삶에 분명존재하고 그것이 자신에게 많은 것을 의미한다고 강변한다.

무질은 정리되고 인식된 세계를 넘어선 것을 말해야 하고 찾아야 한다고 생각했던 작가임을 감안한다면 이 소설의 전반적 맥락이 정리될 것 같다.

무질의 소설은 이야기가 잘 진행되지 않는다. 그의 서술은 마치 융합반응처럼 끝임없이 사람속을 파고들고 묘사한다. 그래서 익숙히 봐 왔던 소설과 달리 소설을 다읽기가 약간은 힘들었지만 읽고나니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었다. 그것은 서술시점에 대한 생각인데.. 등장인물의 감정이나 생각을 잘 묘사하는 방식이 1인칭 시점이라면 이소설은 3인칭시점을 사용함에도 1인칭의 특징을 능가한다는 점이고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퇴를레스의 입장에서 서술하는 것과 전지적 시점에서 서술하는 방식의 차이점과 특징등을 감안해서 읽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사족인데..무질의 대표작 <특성없는 남자>가 아직 번역이 안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새삼 땅덩이가 넑이로 좁음을 느끼는것이 아니라 이런  책이 아직까지 출판되지 않았다는 것에서  좁다라는 낭패감이 들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erky 2005-06-08 07: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잘 읽었습니다. 이 책 읽어봐야지 맘만 있었지 아직 읽어보진 못했는데, 상당히 어려울 것 같군요. ^^; 오즈님은 상당히 좋은 책들을 많이 읽으시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