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레인트리를 듣는 여인들
오에 겐자부로 지음 / 고려원(고려원미디어) / 1996년 10월
평점 :
절판
아직 오에의 완숙이 나오기전에 그는 이렇게 상상의 나래로 절망을 요리저리 살펴보았나 보다. 확실히 작가는 본격적인 희망에 대해 말하기전 어떻게 하면 지금 저 절망과 돌이킬수 없는 것을 다르게 보일까 궁리한 흔적이 또렷히 보인다.
이 소설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공통점은 돌이킬수 없는 절망과 무의미로 가득하다. 세상의 대지에 서있는 사람들이 폭우가 쏟아지면 여지없이 비를 맞듯이 그것은 명백하고 자명하다. 괴짜라고 불러야 할까..<다카야스 캇짱>도 죽었으며 레인트리가 보였던 <정신치료소>도 불타 안에 있던 피를 흘리던 여자도 죽었고 작가자신도 망고를 먹으며 해골이 널린 방에서 죽음에 가까이 간다. 이뿐인가?..카를로스도 암으로 죽고 삼십대의 멋진 몸매를 가진 남미에서 강간을 당한 <이노구치>도 벤치에서 목졸려 죽지 않은가..
하지만 작가는 레인트리라는 메타포를 통해 죽음이 그저 뿌려지는 것을 막아내려 한다. 비를 맞으며 그것을 잎에 저장해 천천히 비를 다시 내리는 레인트리처럼 소설속에 죽음과 절망으로 마감한 이들을 부여 잡는다.
그 부여잡고 다르게 보려는 시도는 참으로 집요하고 길고 애절하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성향이 작가의 밑거름이 아닐까도 싶고... 다카야스 캇짱의 서술은 대부분 멍청한 괴짜나 순수한 기인의 전형으로 세파에 찌든 우리를 비판하는 도구로 쓰여질 정도가 아니라 그의 여인, 아들, 음악까지 집요하게 파고든다.
왜이리 작가는 그리도 집요하게 그들을 온전히 다르게 보려고 꿈꾸는가..이노구치의 성기노출을 왜 <두려움과 떨림>처럼 묵상하고 또 묵상하는가...
작가는 반정도 성공과 쓸쓸함으로 글을 마무리짓는다. 그것은 매일 열심히 수영을 통해 얻을수 있는 몸매와도 관련이 있을것이다. 자신을 넘어서는 타인의 구원에 대해 비종교인이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이 놀랍고 부끄럽다. 물론 작가는 이후의 작품에서 한층 살아있는 것에 대해 희망을 부여하는 걸 보면 그의 집요한 여정은 궤도에 올랐다고 볼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