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기의 그늘 - 상
황석영 지음 / 창비 / 199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황석영의 매력은 묵직하고 담백하며 바람을 정면을 맞는 곳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게 아닌가 한다.
이 소설은 베트남전을 그리고 있지만 몇장 넘기면 내심 기대했던 전투장면은 오간데 없고 다낭의 군수보급처로 눈을 돌린다. 전쟁이 단순히 무기를 갖고 적을 죽이는 행위로 규정지을수 없음을 이 책을 읽어가는중에 깨닫는다. 수많은 창고와 막대한 물품, 듣도보지도 못한 상품의 묘사는 전쟁의 다른면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읽으면서 왜 작가는 전투장면을 그리지 않고 이런 전쟁의 물품에 대해 쓸까라는 의문을 가졌다. 나름대로 작가가 베트남전에 참가했으니 자전적 성격을 강하게 부여받지 않았나 싶었고 한국전쟁이 끝난 지금의 한반도의 정세를 살펴보기에는 이런 배경이 더 어울린다고 생각이 들었다. 단순히 구호품으로써 지원이 아니라 그나라의 경제적, 문화적 점령의 첨병작업은 < 레이션>으로 상징되는 것으로 시작되는 것이 아니겠나.
암시장은 마치 전쟁에서 벌어지는 규정할수 없고 의미를 밝힐수 없는 혼란의 전형으로 보인다. 그곳에 한국과 미국, 베트남인은 저마다의 목적으로 움직이는데..미국과 베트남정부의 모습, 한국의 모습과 반군의 모습의 비교는 의미하는 봐가 깊다.
미국은 물품을 융단폭격을 하듯이 쏟아낸다. 미국의 제품으로 이 모든것이 이루어져 있고 먹고 마시는 것이다. 그들이 적을 만들고 적을 입히고 다시 적을 죽이는 모습은 지금의 한국을 보는데 유효하다.
한국인들은 미국이 펼쳐논 곳에서 장사를 하고 연줄을 되어 먹고사는 이들이 많이 나온다. 그들은 자신의 목숨값으로 고향의 꿈을 사고 일본제 가전제품을 산다.
책을 읽는내내 월남전에 참전했다는 사람의 회고가 머리속을 떠나지 않았다. 그 사람은 두가지를 말했다.
하나는 무지막지한 미국의 물량에 아연한 기억이다. 그리고 그럼에도 베트남 땅에 내렸을때 이길수 없겠구나하는 허무함이다.
그것은 아마도 책중간 중간에 등장하는 민간인 학살장면과 엉뚱하게 연결이 되었다. 강력한 무력과 물품으로 당분간은 미국인처럼 살수는 있겠지만 그땅과 사람을 살수도 사랑할수도 없다는 것은 지금까지 우리가 깨닫지 못하거나 거부한 핵심이 아니겠나.
소령의 한국여자처럼 지금의 한국도 미국를 따라서 몸을 팔고 죽어가는 것을 못보고 마약이란 환각에 취해 전쟁을 지지하고 따라다니는 그리고 수많은 물량의 반출을 기다리는 미국보다 더 타락한 부분이 없는지 반성해야된다고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베트남부터 이라크, 지금도 계속되는 테러를 보고 있노라면 인간이란 존재는 근본적으로 스스로 구원할수도 없으며 진보하지도 않으며 자기중심적 사고에 벗어나지 못하다는 걸 새삼 믿게 해준다고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