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경 없는 의사회 - 인도주의의 꽃
엘리어트 레이턴 지음, 박은영 옮김, 그렉 로크 사진 / 우물이있는집 / 2003년 6월
평점 :
절판
저자는 자신이 본 것을 가능한 미화하지 않으려 노력한 것 처럼 보인다.
국경없는 의사회의 조직과 성격, 그리고 그가 동행했던 분쟁지역의 참상과 국경없는 의사회의 접근방법을 선입견을 가지고 보지 않겠다는 의지가 분명하게 보였다. 이점은 아마도책을 읽은 사람들이 느낀 공통점이라 생각이든다. 같은 내용이 약간은 반복되는 상황을 보면 <강조>의 의미가 아닐까 싶다.
이런 저자가 본 국경없는 의사회는 실은 국경없는 의사회 넘어에 있는 우리가 해외뉴스에서만 보는 처참한 분쟁지역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돈으로 계산할수 없는 그들의 젊음과 시간과 헌신이 왜 필요한가라는 질문을 부끄럽게 하는 <세계의 중심>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이다.
그 사건들은 열강들의 탐욕과 무지, 더러운 욕망들의 용광로이고 우리가 가장 아프게 느껴야 할 슬픔이고 우리가 고민해야 할 삶의 의미, 종교, 시간의 모든것을 되묻는 거울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런것과 관련된 일과 사건들을 수만광년이 떨어진 별의 현상처럼 보는 것이 아닐까도 싶다.
책에서는 그들이 고민하는 그리고 냉엄한 현실을 보여준다. 여러 봉사단체의 현실과 그것을 받치고 있는 재정구조와 언론과의관계,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그 봉사단체들을 이용하는 정부나 반군들...그리고 과연 그들의활동이 어떤의미 있는지, 과연 냉엄한 현실을 더 연장하고 가책을 덜어주지는 않는지라는..고민들..
하지만 왜 그들이 이런 십자가를 지고 살아야 하는가.. 분명 그 고민들은 그들밖에 있는 사람들이 나누어 짊어질 무게이고 현실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말이다... 우리는 벌써 체험적으로 우리가 속한 세상이라는 것은 대한민국이라는 국경안에서의 의미라는 것을 일단 알고 있고 이 대한민국이라는 또다른 냉엄한 현실에서 느끼는 것은 나자신부터 <세상>에 대해 고민하고 타인의 삶에 참여하고, 함께 해야 변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해서 우리는 이런 또다른 <나에게>도움을 받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도 알고 있다.
짐짓..어딘가에서 누구에게도 관심을 받지 못한채 잊혀져가는 그들과 우리는 같은 운명의 곡선을 걸어갈수도 있기에 더욱 그렇지 않을까... 해서 이 책을 읽은후에 <우리>라는 범주는 한없이 넓어지고 구체화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