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제션 - 그녀의 립스틱
사라 플래너리 머피 지음, 이지연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포제션》

 


 

책을 읽다보면 그 끝이 대체 어떻게 될지 궁금해지는 책이 있다. 이 말은 때론 부정적인 뜻이 될 수도 있고 그 반대 일 수도 있다. 전자는 너무 많은 이야기를 담으려다가 수습은 어떻게 하려는지 걱정될 때이고 후자는 전개가 너무나 흥미진진해서 결말이 궁금해질 때일 것이다.

 

《포제션》은 이 두 이야기의 중간 어느 한 지점에 있는 작품이다. 복선으로 여러 이야기를 깔아서 분위기를 한껏 고조시키는 건 좋았지만 그 이야기들 중 한 가닥으로 이야기가 좁아지면서 결말로 향하게 되고, 그 결말에 따라 이야기의 성격이 결정될 텐데 이 소설은 끝까지 이야기가 어디로 흐를지 몰라 긴장감을 느꼈다.

 

‘로터스’란 알약을 삼키면 자신이 없어지고 그 자리에 다른 영혼을 불러들여 산 사람과 연결시켜주는 일을 하는 사람이 있다. 주로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사람들이 다시 한 번 고인을 만나고 싶어 그들을 찾아온다. 그들이 일하는 곳 ‘엘리시움 소사이어티’. 이런 일을 하는 사람을 ‘바디’라고 부르고 이 회사에서 제일 오래 근무한 ‘에디’가 소설의 주인공이다.

 

처음 소설의 소개를 보았을 때 먼 미래의 어느 시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소설은 현재 어느 도시가 그 배경이다. 그녀에게 아내 ‘실비아’를 잃은 남자 ‘패트릭’이 찾아온다. 고인을 떠올릴 수 있는 물건을 가져오면 이를 매개로 영혼을 불러들이는데 이 남자는 죽은 아내가 바르던 진한 와인색 립스틱을 가져온다. 몇 번의 접속이후 과거의 접속들과는 다른 무언가를 느낀 주인공. 그녀는 점점 패트릭에게 빠져들고 실비아의 영혼은 점점 주인공의 몸을 잠식하기 시작한다. 주인공은 이 느낌이 실비아의 것인지 자신의 것인지 혼란스러워하며 부부의 삶에 다가갈수록 실비아의 죽음에 의문을 가지게 된다.

 

또 ‘엘리시움 소사이어티’와 주인공, 같은 ‘바디‘ 역할을 하는 동료들의 이야기가 소설을 이어가는 중요한 요소로써 등장한다. 한 버려진 건물에서 의문의 여자 시체가 발견되는데 아무런 단서가 없어 수사에 난항을 겪고 언론에서 중요하게 다루게 되자 어느 나서기 좋아하는 사람이 접속을 통해 이 여자를 해친 범인을 알아내려고 한다. 그러나 자살이나 살인 같은 사인의 위험한 영혼은 접속하지 않는 다는 룰을 깬 어느 바디가 몰래 접속을 시도한 것이 밝혀지고 경찰은 예전부터 미심쩍었던 회사를 조사하기 시작한다. 이 두 번째 요소는 주인공의 과거에 대해 의문을 품게 함과 동시에 회사의 비밀에 대해 궁금증을 유발한다.

 

이 두 가지 큰 줄기가 맞물리면서 이야기는 전개된다. 소설의 성격을 보자면 이야기의 기승전결을 중시하고 속도감 있는 범죄 스릴러보다는 서스펜스와 주인공들의 심리묘사에 더 치중한 심리 스릴러에 가깝다. 무언가 큰 비밀이 있을 것 같은 이야기는 긴장감 있게 이어지지만 이야기의 중심은 정작 다른 곳에 있다. 범인이나 반전 보다는 이 일들로 인한 주인공의 변화 같은 것 말이다.

 

결말은 생각과는 달랐지만 꽤나 충격적이었다. 그 극심한 혼란과 이별, 밝혀지는 과거와의 조우를 통해 주인공은 오히려 새 삶을 살게 되었다. 이야기가 이런 식으로 전개될지는 정말 상상하지 못했는데 결론을 보고 다시 이야기를 생각해 보면 이 소설은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부부와 가족의 은밀한 비밀, 욕망, 어쩔 수 없는 선택, 이기적인 사람들, 가면 쓴 사람들 등 독특한 소재로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이 소설은 어떤 작품과도 비교하기가 어려울 것 같다. 이야기도 등장인물도 모두 경계선에 서 있다. 내밀하고 아찔하고 매혹적이며 어쩌면 발칙하다 말할지도 모른다. 그들이 선택한 결말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