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 개정판
알베르 카뮈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방인》

 

 

 

 

 

책을 읽기도 전에 《이방인》오역논란을 먼저 접했다. 책 띠지에 있는 도발적인 문구 '우리가 읽은 <이방인>은 카뮈의 <이방인>이 아니다'를 읽고 이 책을 꼭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것도 부정할 수 없다. 솔직히 어렸을 때 읽었던 《이방인》은 이해하기도 어려웠고, 아니 무슨 이야기인지 정리조차 되지 않았다. 단지 뜨거운 햇빛 때문에 사람을 죽인 사람이라는 정도? 이정도만 이해할 수 있었던 것 또한 사실이다. 그랬기에 나는 그전에 읽었던 이방인과 이 번역본 《이방인》이 어떻게 다른지, 내가 정말 이해력이 낮아서 이해할 수 없었는지 진짜 이방인이 있는 것인지 알고 싶었다. 예전 오래전에 나왔던 번역 책들은 딱딱한 번역체, 의역 혹은 직역 때문에 문장에 문제가 많다는 것을 이미 경험으로 알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 전에 오역 논쟁을, 어쩔 수 없이 언급해야겠다. 처음에는 후배가 선배에게 도발하는 구나, 아니 이미 그 누구도 이이를 제기할 수 없는 경직된 분위기에 작은 돌멩이를 던져 파문을 만들어 보려고 하는 구나 이런 생각을 했다. 그리고 내가 이 책을 읽게 된 만큼 그 파급력은 점점 힘을 얻어 가는 듯했다. 그러나 옮긴이 '이정서'가 새움 출판사 사장의 필명이라는 것이 밝혀지고, 프랑스어 원본이 아닌 영문 본을 중역했다는 비판이 제기, 곧 사죄한다는 인터뷰를 한 역자의 이야기가 이어지면서 이글을 쓰는 2014년 4월 중순 현재까지도 도덕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 오역논란의 요지다.

 

 

그러나 나는 이 책《이방인》 작품에 대한 의견을 먼저 이야기 하고 싶다. 슬프게도 나는 역자 이정서와 새움이 공격대상을 삼았던 이화영 교수의 번역본만 읽었고 다른 역자들의 번역은 읽어보지 못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말 할 수는 없지만, 이 둘을 비교했을 때 새움 버전의 번역은 비교적 굉장히 매끄럽다는 것이다. 그 전의 이해 할 수 없었던 이방인이 아니었고, 한편의 소설로 다시 자리매김했다는, 또한 '굉장히 치밀하며 잘 짜인 구조의 소설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하고 싶다.

 

내가 느낀 다른 점, 그 전의 번역과 이 버전은 크게 2가지다. 첫째는 소설 속 인물 성격설정, 두 번째는 불편한 번역체가 훌륭한 문장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그 전의 번역은 주인공을 사이코패스나 소시오 패스 혹은 파렴치한으로 그려 놓아 단지 햇빛 때문에 살인을 저지른 정말 이상한 사람처럼 보이도록 설정했다는 것이고, 다른 등장인물들의 성격들도 성의가 없거나 일관성이 없게 그려놓았다는 것이다. 작품은 크게 살인이 일어나기 전과 후의 법정 부분으로 갈리는데, 살인 전에 묘사한 등장인물들의 성격이나 말버릇은 법정 증인 심문 장면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기 때문에 주인공만큼 중요한 장치다. 또한 주인공이 어떤 인물인지에 따라 <이방인>의 의미가 달라질 수도 있는 문제이기에 그 의미는 굉장히 크다는 생각이 든다. 그 외의 문체에 관한 것은 외국의 문학이나 저서들의 번역이 정말로 중요하다는 것은 이미 다 알고 있을 것이다. 번역 자체가 작품에 버금가는 위치를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이 타깃으로 삼은 번역은 분명 문제가 많았다. 나는 지금의 새움 번역본을 작품으로만 본다면 정말 괜찮은 작품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러나 다른 문제가 있다. '공격' 에 가까운 마케팅, 그리고 번역자의 도덕성문제다. 책 띠지에 있는 카피 문구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 도발적 문구는 충격적이었지만 적당했다고 본다. 그러나 책의 거의 반을 차지하는 <역자노트>에서 역자가 보인 뉘앙스는 번역의 잘못을 바로잡는 수준이 아니라 앞서 말한 대로 '공격'에 가까웠다. 꼭 그래야만 했을까? 그리고 영어역본 중역이 사실이라면 이는 도덕성에 크나큰 문제가 있는 것이고, 독자를 기망한 것이다. 또한 기껏 잘 번역해 놓은 작품을 스스로 망치는 꼴이 되 버리고 만 것이다. 이미 다양한 경로로 '이정서' 역자를 공격하는 칼럼들을 많이 보았다.

 

나 또한 이 글에 결론을 내야 할 것 같다. 나는 소설보다 더 긴 역자 노트에 적힌 역자의 말을 인용하고 싶다. <번역서를 읽으면서 이해가 안 된다면 자신을 의심하기에 앞서 역자의 권위에 우선 주눅 들지 말고 그가 번역을 잘못 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한 번쯤 해볼 수 있는 우리가 되었으면 좋겠다. 우리 학생들을 비롯해 누군가에게 책을 권할 때는 더군다나 그래야 할 것 같다. p 287> 역사도 그렇지만 학계에서 그전 세대의 권위가 지니는 권력이 대단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랬기에 저자의 이런 노력도 일정부분 이해가 된다. 당돌한 한 줄의 카피 문구가 경직되고 답답한, 어찌 보면 부조리한 이 사회에 큰 파문을 만들어 냈다. 그러나 방법이 잘 못 되었다. 그 전의 역자 또한 자기 자신대로 노력을 다 했을 것이다. 공격당해야 할 것은 이이제기도 못 할 만큼의 경직된 분위기와 기성세대지 어느 특정 인물이 아닐 것이다. 또한 새로운 세대, 혹은 시대가 달라지고 세월이 흐르면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달라지는 것도 번역이다. 새로운 변역이 특별한 것이 아니란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런 거대한 벽을 깨려면 이정도의 <똘 끼> 정도는 있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든다.

 

쓰다 보니 결국 새움과 역자를 변명하는 것처럼 되 버렸다. 그러나 이것이 진짜 나의 마음이다. 역자는 어수룩한 돈키호테일까, 이 견고한 사회가 만들어낸 똘끼 그 자체일까? 아니면 그저 방식을 잘 못 선택한 안타까운 사람일까? 소설을 읽으면서 나는 《이방인》을 다시 읽게 되었다. 그래서 나는 잘못 보다는 작품에 무게를 두고 싶다. 역자는 이 소설의 주인공과 너무나 닮았다. 그가 바로 《이방인》그 자체가 아닌가. 세월이 지나면 알 것이다. 새움과 역자가 《이방인》하나로 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견고한 성을 흔들었는지 그저 '햇빛 때문에 살인을 저지른 한낱 파렴치한'일 뿐이었는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깐 2014-04-19 09: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화영 x 김화영 o